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s Design Prototypetyle

한국 디자인 원형 연구

  • 김복경 (신라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Design prototype is described from the stately aspect as a principle of formative art, and from the shapeable aspect of physical feature. The prototype can be a common denominator which is contained in one nation's culture, art and life, as the thing which corresponds to the daily industrial craft, architecture and art's production intention and activity with the thought and background of the culture. We have formed the design prototypes with time and space in the process which absorbs and integrates the new culture. Modern Korean design's prototype can be seen in the late Chosun. As the upper culture and sub-culture were combined, the active culture was developed. Nobody can deny that Chosun's culture and art becomes a basis of today's design and Korea's beauty. In creating the design prototype, the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opography and climate are the most important. Such natural environmental factor led the design recognition of art and craft art, as well as an architecture and indoor environment's form. Korea design produced the artisan sprite which is devoted to a moral duty and instinct as our nation's nature and emotion, and ensured the emotional process not the rational process. So, it created naturalism which accepted the material and shape. Our design prototype's path tracking as an energy of future society's new design identity, can be the important theme for our design development.

디자인원형은 조형원리인 성상적인 면과 물리적인 성격의 형상적인 면으로 설명되어진다. 원형은 문화전반의 사상과 배경의 핵심으로 생활 공예 및 건축, 미술의 제작의도와 작업 행위에 해당되는 것으로 한 민족의 문화와 예술 그리고 생활 전반에 내재한 공통분모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새로운 문화를 흡수, 통합하는 과정에서 시 공간을 축으로 하여 디자인 원형을 형성시켜왔다. 현대 한국 디자인의 원형은 조선 후기로 볼 수 있는데 상층문화와 기층문화가 융합하면서 활발한 문화가 전개되었고, 이런 조선의 문화와 예술은 오늘날 우리 디자인과 한국 미의 근간이 되어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디자인 원형을 형성시킴에는 지형과 기후 등과 같은 자연 환경적 요소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런 자연 환경적 요소는 건축과 실내 환경의 형태뿐만 아니라 예술과 생활 공예 전반의 디자인 의식을 주도해왔다. 한국디자인은 우리 민족의 기질과 정서로서 명분과 본능에 충실한 장인 정신을 낳았고 이성보다는 감성적 유희성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재료와 형태감에 순응하게 하는 자연주의를 형성시켜왔다. 이와 같은 우리의 디자인 원형의 경로 추적과 연구는 미래 사회의 새로운 디자인 identity의 에너지로써 우리의 디자인 발전에 중요한 테마라 할 수 있다.

Keywords

Cited by

  1.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Traced in South Korean Contemporary Fashion Practice vol.7, pp.2, 2015, https://doi.org/10.1080/17569370.2015.1045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