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한국 대학생의 한국과 미국에 대한 암묵적 창의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의 4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으로 다중 응답하게 하였고, 빈도 분석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한국의 대학생들은 한국의 창의성 특성에 대하여 인지적 특성, 인성적 특성, 문화적 특성, 연구개발분야, 예술분야 등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창의성 이론과 비슷한 방식으로 창의성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의 경우, 사회문화적 배경과 같은 환경적 특성은 창의적 특성, 비창의적 특성 모두에 비중 있게 차지하였다. 셋째, 미국의 창의성을 개인주의적인 성향에 초점을 두어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비해 한국적 창의성에서는 공동체의식이 창의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f보다는 미국의 문화가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더 유리한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섯째, 한국의 전통문화는 문화의 고유성과 우수성 그리고 현대적 활용 가능성 측면에서 창의적 특성으로 인식되었다. 여섯째, 창의적 인물은 대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예술가, 경영자, 통치자, 과학자 순으로 인식되었다. 일곱째, 창의적 인물의 특성에 나타난 양 국가의 창의적 특성 비교에서 한국보다는 미국의 특성이 더 많이 반영되었으며, 이는 미국문화에 보다 익숙한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인물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창의성 연구에서 동양적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찾았으며, 특히 전통문화와 전통재창조, 동양적 가치관 등이 서양에는 없는 우수한 문화자원이며 창의성을 지원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제기되었다.
As a previous study to investigate recognition gap of creativity between Korea and America, this study has examined Korean university students' implicit creativity toward Korea and America. The research method using in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subject wer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hey were asked to answer multiply for open-ended ques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answers, a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showed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sidered creativity trait as cognitive trait, personality, cultural trait, research and development areas and arts areas. This result means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tend to recognize creativity similarly to the ways of established theories of creativity. 2) For the case of Korea, environmental trait like sociocultural background had great importance for all cases of creativity trait and non-creativity trait. 3) American creativity was recognized focused on individual tendency, on the while, community spirit was considered as creativity trait in Korean creativity. 4) It is considered that American culture had better condition for displaying creativity than Korean culture. 5)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was recognized as creativity trait in terms of originality and superiority, and the possibility of modernistic use of Korean culture. 6) Creative people were ranked by artists, executives, rulers and scientists who were well-known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7) In the comparison of creativity trait between the two countries revealed the traits of creative people, American creativity was reflected more than Korean creativity, This result seems that those people were favor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familiar with American cul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found another possibility of creativity of the East among cross-cultural creativity studies. Moreover, this study has suggested that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 renewal, and values of the East are superior cultural resources which are not exist in the West, and those are expected to play a role in developing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