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rehensive Model for Identification of Underachieved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복합판별 과정에 의한 초등학교에서의 미성취 영재 판별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model to identify underachieved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by utilizing multiple methods. From March 1st, 2006 through September 30th, 2006, we developed and applied a 6-step comprehensive identification model for underachieved gifted children by examining 1980 children attending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starting from the first step of teacher nomination to the last step of committee's final decision. As a result, 4 students were identified as underachieved gifted children. For comprehensive and appropriate identification, we adopted, adjusted, or developed several standardized tests, teacher nomination form, parental questionnaire, self-report checklist, and school achievement tests, which were fine-tun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is identification model.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identification model for underachieved gifted children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consist of 6 steps: a) teacher nomination, b) simplified standardized testing, c) student's self-report, d) multiple standardized tests, e) qualitative analysis, and f) a committee decision for the final ident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 영재 판별의 이론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다인수 학급에서의 미성취 영재를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단계와 내용을 구성하는 데 있다. 2006년 3월 1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S 초등학교 전교생 1980명을 대상으로 하여, 70명의 교사 추천(1단계)으로 시작하여 6단계 위원회 최종판별에서 4명의 미성취 영재(2 4 5 6학년 남학생)가 판별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보다 다면적이고 적합한 미성취 영재 판별을 위하여 표준화 검사 도구, 체크리스트와 설문지, 학업 성취도 검사를 채택, 수정, 혹은 개발하였으며 판별 과정에서 수정 보완하였다. 미성취 영재의 복합판별 과정의 개발 및 적용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교사추천, 간편검사, 미성취 특성 체크리스트, 다차원검사, 관찰 면담, 위원회 최종판별이라는 복합판별 과정이 교육현장에서 미성취 영재를 적절하게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4). 영재교육 활성화 방안. http://www.kedi.re.kr(검색일: 2006. 2.10)
  2. 김언주 (2001). 영재의 판별과 선발. 영재교육연구. 11(2). 1-19
  3. 김현진 (1999). 다중지능 측정도구(K-MIDAS)의 타당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4. 박완득 (1995). 미성취 영재아의 가정환경 및 인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5. 박혜원 (2001). 지적 영재유아 판별의 절차와 과제. 영재교육연구. 11(2). 105-124
  6. 송수지 (2000). 영재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0(2). 87-108
  7. 송수지 (2004). 미성취 영재의 특성 분석 및 개입전략 효과.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8. 송인섭 (2004). 자아개념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17(2). 1-25
  9. 안성연 (1996). 영재의 단일판별 대 복합 판별 과정의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0. 유연옥 (2003). 그림 창의성 검사(TCT-DP)에 의한 아동의 창의성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2). 53-70
  11. 윤여홍 (2002). 부모의 지각에 의한 유아 영재의 발달 특성의 변화. 영재교육연구. 12(2). 70-85
  12. 이경란 (2005). 미성취 영재와 성취 영재의 자기조절 학습전략 차이 비교.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3. 이수진 (2005). K-CBCL을 통한 성취 영재와 미성취 영재의 문제행동 비교.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4. 이영석 (2003, 가을). 유아영재 판별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방법. 한국영재학회, 추계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15. 전경원 (1992). 휴머니즘에 입각한 특수한 영재교육. 서울: 민서원
  16. 전경원 (2004). 영재재능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사
  17. 조석희 (2004). 영재교육대상자 판별도구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기술보고서, TR2004-18
  18. 조현조 (2002). 초등 영재교육 운영모형 개발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 최효순 (2002). 초등학교 영재의 미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 황희숙, 강승희, 윤소정 (2003). 유아 영재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K-WPPSI 수행과 창의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3(4). 81-104
  21. Bachtold, L. M. (1969). Personality differences among high ability underachiev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63(1). 16-68 https://doi.org/10.1080/00220671.1969.10883916
  22. Baum, S. M., Renzulli, J. S., & Hebert, T. P. (1994). Reversing underachievement: Stories of success. Educational Leadership, 52(3). 48-53
  23. Clark, B. (2002). Growing up gifted. Columbus, OH: Merrill Prentice Hall
  24. Coleman, J. S. (1961). The adolescent society. New York: Free Press
  25. Davis, G. A., & Rimm, S. B. (1985).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6. Durr, W. K. (1964). The Gifted Stud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7. Fox, L. H. (1976). Identification and program planning: Models and method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8. Freedman, J. (2000). Personal and school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success or underachievement of intellectually gifted students in middle childho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Yale University
  29. Gallagher, J. J. (1975). Teaching the gifted child. Boston: Allyn & Bacon
  30. Galbraith, J. (2000). You know your child is gifted when. Minneapolis, MN: Free Sprit
  31. Hildreth, G. (1966). Introduction to the gifted. New York: McGraw-Hill
  32. Hudson, L. (1966). Contrary imaginations: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English schoolboy. London: Methuen
  33. Kitano, M. (1986). Counseling gifted preschoolers. Gifted Child Today, 9(4). 20-25
  34. Kranz, B. (1978). Multi-Dimensional Screening Device(MDSD) for the identification of G/T children. Grand Forks, ND: University of South Dakota Bureau of Educational Research and Services
  35. Kranz, B. (1981). Kranz talent identification instrument. Moorhead, MN: Moonhead State College
  36. Krouse, J. H., & Krouse, H. J. (1981). Toward a multimodal theory of academic underachieve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16(3). 151-163 https://doi.org/10.1080/00461528109529237
  37. Lupart, J. L., & Pyryt, M. C. (1996). Hidden gifted students: Underachiever prevalence and profile.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0(1). 36-53 https://doi.org/10.1177/016235329602000103
  38. Martinson, R. A. (1974). The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Ventura, CA:Office of the Ventura County Superintendent of Schools
  39. New York State Education Department. (n.d.). Special education. Retrieved April 11, 2006 from http://www.vesid.nysed.gov/specialed/home.html
  40. Pringle, M. C. (1970). Able misfits. London: Longman
  41. Raph, J., Passow, A., & Goldberg, M. (1966). Bright underachiever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2. Reis, S. M., & McCoach, D. B. (2000).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go? Gifted Child Quartely, 44. 152-170 https://doi.org/10.1177/001698620004400302
  43. Rimm, S. B. (1985) Identifying underachievement: The characteristics approach. G/C/T, 41. 2-5
  44. Rimm, S. B. (1995). Why bright kids get poor grades. New York: Three Rivers
  45. Sanborn, M. P.(1979). Working with parents. In N. Colangelo & R. T. Zaffrann(Eds), New voices in counseling the gifted(pp. 346-369). Dubuque, IA: Kendall/Hunt
  46. Shaw, M. C.(1961).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academic underachievers. In L. Miller(Ed.), Guidance for underachievers with superior ability(No, 25). Washington, DC: U. S. Department of HEW, Bulletin
  47. Sisk, D. (1987). Creative teaching of gifted. New York: McGraw-Hill
  48. Whitmore, J. R. (1980). Giftedness, conflict, and underahcievement. Boston: Allyn and Bacon
  49. Whitmore, J. R., & Maker, C. J. (1985). Intellectual giftedness in disabled person. Rockville, MD: As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