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lculation of the Wave Height Distribution in the Vicinity of Ulsan waters using the Observed Date of Typhoon Maemi

태풍 ‘매미’ 내습시 관측자료를 이용한 울산 해역의 파고 분포 산출

  • Kim, Kang-Min (Port and Coastal Development Institute, Seil Engineering Co., Ltd.) ;
  • Kim, Jong-Hoon (Port and Coastal Development Institute, Seil Engineering Co., Ltd.) ;
  • Ryu, Ha-Sang (Port and Coastal Development Institute, Seil Engineering Co., Ltd.) ;
  • Jeong, Weon-Mu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김강민 (㈜세일종합기술공사 기술연구소) ;
  • 김종훈 (㈜세일종합기술공사 기술연구소) ;
  • 유하상 (㈜세일종합기술공사 기술연구소) ;
  • 정원무 (한국해양연구원 연안.항만공학연구본부)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For calculation of wave field for design of coastal and port structures, generally the wind fields from inland observation record or the predicted waves from deep water wave transformation model are being used. However, for the first case, as we should revise the wave data adopting correcting parameter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coast and location, it is difficult to extract water waves from wind field. Furthermore, for the second case, because of the calculation which executed under very large grid sizes in the wide domain, the simulation(wave transformation) implied uncertainty in the near shore area and shallow region. So it's difficult to obtain exact data from the simulation. Thus, in this study the calculation of wave field on shallow water is accomplished using the observed data of typhoon 'Maemi' in the Korea Eastern South sea. Moreover, for the accuracy of the calculated wave field, we compared and studied the observed data of wave height and direction on the vicinity of the Ulsan waters. It is pro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more accurate than the existing method with showing ${\pm}1.3%$ difference between observed and calculated wave height distribution in Ulsan waters

항만 및 해안구조물의 설계시 사용되는 천해역에서의 파랑장 계산은 내륙 관측소의 바람자료를 이용하거나 심해파 추산모형에 의하여 추출된 심해파제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관측소가 대부분 내륙에 위치하여 파랑발달을 모의하기 위한 정확한 바람자료를 얻기란 매우 어렵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아주 넓은 영역에서 큰 격자크기로 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안 및 천해역 지형을 상세히 재현하지 못하므로 임의의 정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남부 해역의 태풍 ‘매미’ 내습시의 파랑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천해역에서의 파랑장 계산을 수행하였다. 또한, 계산된 파랑장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울산해역 인근의 파고 및 파향 관측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울산해역에 대한 파고분포 산출결과, 관측정점에서 파고는 ${\pm}1.3%$의 차이를 보여 기존의 방법 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2003), 태풍 '매미' 진로, http://www.kma.go.kr
  2. 신승호, 홍기용(2004), "제3세대 파랑추산모형을 이용한 태풍'매미'의 극한파랑 재현(II)", 한국항해항만학회 29권 8호, pp.745-752.
  3. 해양수산부(2004), 울산신항 남방파제 및 기타공사 기본. 실시설계용역 보고서, 6권 해양조사편, pp.33-98.
  4. Booij, N., Haagsma, IJ. G. Holthuijsen, L. H., Kieftenburg A.T.M.M., Ris, R. C., van der westhuysen, A. J., and Zijlema, M.(2004), "SWAN-User manual,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Environmental Fluid Mechanics Section.
  5. Hasselmann, K., Bernett, T. P., Bouws, E., Carlson, H., Cartwright, D. E., Enke, K., Ewing, J. A., Gienapp, H., Hasselmann, D. E., Kruseman, P., Meerburg, A., Muller, P., Olbers, D. J., Richter, K., Sell, W., and Walden, H.(1973), "Measurements of wind-wave growth and swell decay during the Joint North Sea Wave Project(JONSWAP)", Dtsch. Hydrogr. Z. Suppl., 12, A8.
  6. Kang, S. W., Lee, D. Y., Park, K. S., Shim, J. S., Oh, B. C., Jun, K. C., and Kim, S. I.(1988), "Hindcast of typhoon waves in the South and the East Sea of Korea", Ocean Research 10(2), pp.5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