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Web Sites

공공도서관의 웹사이트를 통한 정보봉사 - 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 김용근 (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web sites. Four evaluation criteria. interface. searching, contents and communication are usually used to measure web sites. Because interface and searching are contained hardware elements, these are not included to this review. For this study contents and communication are examined into operating at public libraries web sites. Also analyzed is gateway function providing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and researchers information.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웹사이트를 활용하여 수행하는 정보봉사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웹사이트 평가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평가영역인 인터페이스, 콘텐츠, 커뮤니케이션, 검색성 중에서 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 영역만 분석한다. 인터페이스와 검색성 영역은 하드웨어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개별 도서관의 노력으로 개선하기 어려운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 영역은 사서들이 이용자와의 접촉을 통하여 얻어진 정보요구를 시스템에 반영시킬 수 있는 영역이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정보자원 개발이 라는 관점에서 도서관의 게이트웨이 기능을 고찰한다. 일상생활정보와 학술정보봉사를 위하여 외부기관에서 생산, 배포하는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인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차미경, '인터넷을 활용한 공공도서관의 지역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제12권. 제1호 (2001,6) pp.157-170
  2. 연구자가 연구기간 동안 조사대상 공공도서관의 웹사이트 방문자 회수를 확인하였다
  3. 조찬식, 한혜영. '서울시 의학도서관의 웹페이지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6권, 제1호(2005,6), p.135
  4. 이란주, 윤소정, '도서관 홈페이지 설계에 관한 연구-인터페이스와 정보자료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2권, 제4호,(1998.12),PP.141-157.연구결과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은 단순한 시스템 사용에 대한 피드백외에 전자적 참고봉사업무 영역을 확대하고, 도서관 홈페이지 이용에 대한 도움말을 제시하고, 자관의 정보자료개발 정책에 기초를 두고 흠페이지를 구축할 것과 정보이용안내와 교윽을 제공 할 것 등이라 밝히고 있다
  5. 정부현. '인터넷 웹사이트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0.2
  6. 최상기,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설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17권, 제4호(2000.12), pp.137-155. 이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설계지침으로 신착자료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부여하고, 도서관 소식을 알리는 기능인 게시판, 공지시항 등을 중복되지 않게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7. 조찬식,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웹페이지 콘텐츠 분석.' 한국비블리아 제12권 제2호 (2001. 12), pp.105-124
  8. 성기문, '정보제공 웹사이트 평가모형 개발과 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2
  9. 정진한, '대학도서관 웹페이지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2
  10. 문형남, '웹사이트 평가 모델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18권, 제2호(2001. 6), pp.31-56
  11. 한국전산원, 공공기관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지침서. 한국전산원, 2002
  12. 이명희, 이상렬, '국가대표전자도서관 웹사이트의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 일본, 미국의 의회도서관을 중심으로', 국회도서관보, 제39권, 제3호(2002.5.6) pp.3-21
  13. 정진한, 박일종, '평가기준에 따른 대학도서관 웹페이지의 구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19권, 제1호(2002.3), pp.163-187
  14. 조사대상 도서관인 대구지역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상위 메뉴들이다. 이 부분은 도서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5. 황정숙, '공공도서관 전자정보실 이용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2.2
  16. 한국문화정보센터,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조성사업', 2003, P.11
  17. 김영기, '디지털자료실 구축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3권, 제3호(2002.9). pp.161-163
  18. 송지은,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논문, 2005.2. p.18
  19. 정주연,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현 단계: 인천지역 6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2. p.80
  20. 송지은,'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현 단계: 인천지역 6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2. p.45
  21. 문화관광부, '공공도서관 디지털 구축사업,' 2002. pp.4-3. (4. 추진사업에서 3쪽임)
  22. 앞의 '정보자원' 항목에서 검토된 내용이다. 각 도서관이 일상생활관련 개별 정보를 수집하기는 어렵지만 정보원의 조사만 이루어지면 관련 웹사이트의 연결로 단순하지만 정보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다
  23. 이용훈, '우리나라 도서관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도서관 제 55권, 제4호(2000. 가을), p.18
  24. 지역생산정보는 그 지역의 정부기관, 교육기관, 사회봉사기관, 클럽 및 사회단체, 개인이 생산하는 정보이다. 공공도서관에서 이를 수집, 정리하여 별도의 파일을 구축, 유지하고 이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이 파일을 이용하여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지역생산정보봉사이다. 공공정보는 공공정책의 결정에 대한 시민 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제공하는 정보이다. 이 설명은 다음의 자료에서 발췌한 것이다. 차미경, '인터넷을 활용한 공공도서관의 지역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제12권. 제1호 (2001,6) p.160
  25. 정현태, '공공도서관 디지털서비스의 현황분석,' 정보관리연구, 제34권, 제l호(2003,3), pp.77-98
  26. 정현태, '공공도서관 디지털서비스의 현황분석,' 정보관리연구, 제34권, 제1호(2003,3), pp.88-89
  27. 문화관광부, '공공도서관 디지털 구축사업,' 2002. pp.4-3.(3. 선진사례 분석)
  28. 해당 도서관의 웹사이트를 참조. -Databases Options/ www.chipub.org Inernet Resources
  29.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연감.' 2005. p.549
  30. 정현태, '공공도서관 디지털서비스의 현황분석,' 정보관리연구, 제34권, 제1호(2003,3), p.95
  31. 다음의 두 논문에서는 대학도서관에서 주제별게이트웨이 구축사례를 외국의 대학도서관과 국내 대학도서관의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이미화, '주제게이트웨이(Subject Gateway)구축사례,' 사대도협회지, 제4집, pp.141-159.오선경, '디지털 게이트웨이 기능의 분석: 국내 국립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제34권, 제1호(2003.3),PP.37-58.공공도서관은 아니지만, 최근에는 국내의 많은 대학도서관에서 주제별 게이트웨이를 구축하고 e-journal,e-book, 학술DB, 참고정보원. CD-Net 등에 대한 서비스를 하고 있다. 각 자료에 대하여 가나다순리스트, 주제별리스트, 제공업체별리스트, 수록DB별리스트 등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