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um Planting Density in Low Fertilizing Culture of Machine Transplanting in Rice

벼 기계이앙 소비재배시 적정 재식밀도 구명

  • Choi Weon-Young (Hon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Moon Sang-Hoon (Hon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Park Hong-Kyu (Hon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Choi Min-Gyu (Hon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Kim Sang-Su (Hon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 Kim Chung-Kon (Honan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 최원영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문상훈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박홍규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최민규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김상수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김정곤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planting density in low fertilizing cultivation of machine transplanting in rice field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for $2004{\sim}2005$. Sobibyeo which belongs to medium maturing variety and Nampyeongbyeo which belongs to medium-late maturing variety were transplanted on May 30. In this experi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ding date between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fertilization rate, and heading dates were August 8 in Sobibyeo, and August 14 in Nampyeongbyeo respectively. In relation to lodging character, lodging Index was high where the nitrogen fertilization rate and planting density were high. As planting density increases, panicle number per $m^{2}$ increased irrespective of nitrogen fertilization rate. When nitrogen was 6 kg/10a, rice yield of Sobibyeo was more where planting density was 90 hill per $3.3m^{2}$, and that of Nampyeongbyeo was more where planting density was 80 hill per $3.3m^{2}$. When nitrogen was 9 kg/10a, rice yield of Sobibyeo was more where planting density was 100 hill per $3.3m^{2}$, and that of Nampyeongbyeo was more where planting density was 110 hill per $3.3m^{2}$. Head rice rate of brown rice was higher when planting density increased, and was higher at 6 kg/10a nitrogen rate than 9 kg/10a nitrogen rate in all varieties.

가.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주당 경수는 적었으나 단위면적 당 경수는 많았으며, 엽면적지수가 높았고, 지상부건물중도 무거웠다. 나. 재식밀도와 질소시비량간에는 출수기 차이는 없었고, 품종간에는 소비벼는 8월 8일, 남평벼는 8월 14일이었다. 다. 도복관련 형질은 질소시비량이 많고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도복지수가 높았으며, 절간장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컸으며 품종간에는 소비벼가 $1{\sim}3$절간은 컸으며 $4{\sim}5$절간은 남평벼가 컸고 그 차이는 N9 kg/10a 시용구에서 더컸다. 라. $m^{2}$당 수수는 시비량에 관계없이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많은 경향이었으며, 쌀수량은 6 kg/10a의 질소 수준에서는 소비벼는 90주, 남평벼는 80주가 많았으며, 9 kg10a 질소수준에서는 소비벼는 100주, 남평벼는 110주에서 많았다. 마. 현미의 완전미 비율은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높았으며, 질소시비량간에는 두품종 모두 6 kg/10a 시용구가 9kg/10a 시용구보다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선영, 류점호, 황종규. 1979. 수도 신품종의 재식밀도에 따른 생장해석에 관한 연구. 전북대 농대논문집 제10편 : 30-37
  2. 강양순, 이종훈, 김정일, 이재생. 1997. 규산시용이 미립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42(6) : 800-804
  3. 김보경, 고재권, 이재길, 신현탁. 1999. 벼 자포니카 수중형계통의 재식밀도와 시비수준에 따른 수량형질 분석. 한육지. 31(1) : 21-28
  4. 이광빈, 전대경, 채제천.2003. 질소시비가 쌀의 품질 특성과 취반미의 향기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48(6) : 527-533
  5. 농촌진흥청. 2003 농사시험조사기준 838p
  6. 농림부. 2002. 농림업주요통계 474p
  7. 오용비, 김정일, 박정화, 이숙재, 오윤진, 박래경 1991. 미질에 관한 연구.1. 심복백미의 식미특성과 재배환경요인에 따른 변이. 농시논문집(수도편). 33(3) : 91-98
  8. 박종석, 이석순. 1988. 질소시비량 및 분시비율이 수도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33(3) : 222-228
  9. 손양, 박성태, 김순철, 이석순, 이수관. 1989. 초형이 다른 수도 품종의 재식밀도의 반응. 농시논문집(수도편). 31(4) : 1-6
  10. 손양, 박성태, 김상열, 이희우, 김순철. 1998. 분얼수가 다른 벼 품종들의 개체밀도변동이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식작논문집(I). 40(2) : 8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