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hetorical Features of the Sijo During Chosun Dynasty

조선조(朝鮮朝) 산수시조(山水時調)의 수사적(修辭的) 특성(特性)

  • Published : 2006.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hetorical features of the Chosun Sijo through researching them. A poem has been made by imagination and rhetorics which are based on the poet's experience. The qualifies of the Poem have been determined by how the poet described the object oddly. So it is essential for the poet to struggle to make embellishments and artistic skills when he or she makes a poem. But the Chosun clerisy ostracized the poet who was trying to do these things mentioned above, which was a kind of special poetic point of view the Chosun clerisy had. They recognized embellishments and artistic skills as a resort to petty trick as a result of their sticking to the external form of the objects. The reason they thought them like this was that the Chosun clerisy thought the embellishments and artistic skills could show the self-pride and self-righteousness. Also, there were concerns on the distortion of the object nature by the artificial concoction. Because they can interrupted and distorted the stream of feeling and the original meaning, the artistic skills mush not be recognized as the artistic skills of itself. As a result, they valued the poem made from restraining the rhetoric and artistic skills. They valued the poem which had common words related people's daily life, but was able to feel the simple Lyricism. The poem based on these features has remains as a work which makes people enjoy the nature, and face their life without any resorts, and which has the natural leeway.

이 글은 조선조 산수시조의 작품을 통해서 수사적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시는 시인의 체험을 토대로 상상력과 표현기교에 의해 창작된다 작품성은 사물을 묘사하되 어떻게 기묘하게 표현할 것인가 하는 기교의 효과에 달려 있다. 따라서 문인이 시를 짓는데 시어의 조탁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조선조의 문인들은 수사와 기교에 노력을 기울이는 자를 이충축각지(離蟲築刻之) 도(徒)라 하여 폄하했다 이는 조선조의 문인들이 지니는 특별한 시안(詩眼)이다. 그들은 표현의 기교를 사물의 외형에 집착되어 송씨의 교태를 부리는 잔재주라 인식했다. 그 이유는 기교에는 과정(過情)이 있고 그 속에 자만과 호정(豪情) 독선(獨善)이 드러날 소지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기교는 인위적인 조작성이 있어 사물의 자연성을 왜곡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 시인으로서의 예술정신 즉 장인성(匠人性)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하여튼 기교는 기교로 자각되어서는 안 된다. 자각이 되면 사리(詞理)와 심의(心意)의 흐름이 막히고 왜곡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수사와 기교를 억제하는 대신 철리적(哲理的) 정취(情趣)인 이취(理趣)를 중시하게 되었다. 항상 일상생활과 상관되면서 평범한 언어로 표현하되 미외지미(味外之味)를 느낄 수 있는 고담(枯淡)한 서정성을 중시했다 조선조의 시조는 청려(淸麗)하고 화미(華靡)한 서정적 작품이 냉정하고 깊이 있는 작품으로 이행하게 되었다. 이는 자연으로부터 인생을 음미하고 인생을 대하는 태도도 자적하며 자연스러운 여유가 있는 작품으로 존재하게 되는 인자(因子)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