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anger of Flickering Phenomena in Animation Production

애니메이션제작에 있어서 명멸현상의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전형도 (건동대학교 미디어학부)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The motion effect of animation can be maximized by using the intended number of frame(flickering phenomena) responding to the viewer's percep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es. But, the high contrast of chroma in a color arrangement can cause very dangerous situation if a particular effect(scheduled number of frame for the intended rapid flickering in a zoom-in scene of the warning light of police car and the traffic light) or a excessive visual stimulus is tried. The danger of flickering phenomena is defined as 'Flash Nervousness Attack Symptom' in medical terminology, which has received wide attention because the damage to the viewers of Pocket Monster was very serious in Japan. Producing a piece of animation work, the quality control of colors is important but the color setting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aspects, the danger of repetitive flickering of flashes and patterns in image effect are more serious, so these factors should be checked in the production stages. After investigating the domestic and foreign prescriptions including the guidelines for animation production technique in Japan, a solution to reduce the danger of flickering phenomena of color and light was suggested through statistical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est results.

애니메이션은 제작에 있어 수용자의 지각에 반응하는 의도된 프레임 수(명멸현상)를 이용함으로써 움직임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의 효과(경찰차의 경광등이나, 신호등의 점멸을 확대한 장면에서 빠른 점멸을 의도적으로 계획한 프레임 수)나 지나친 시각적 자극을 주기 위하여 배색에 있어서 채도의 대비를 높이는 경우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일본의 '포켓몬스터' 방영에서 일어난 피해로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된 명멸현상의 위험성은 의학용어로 '빛과민성 발작증세'로 정의되고 있다. 애니메이션의 제작에 있어서 컬러의 품질관리도 중요하지만 색채가 미치는 심리적인 요인을 분석한 컬러설정이라든가, 영상효과에 있어서 섬광과 패턴의 연속적인 점멸이 미치는 위험성을 제작단계에서 체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자는 일본에서 사용 중인 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제작기법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포함, 국외의 관련규정들을 종합 검토하고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비교하여 명멸현상의 위험성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