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sired Self-Images and the Fashion Product Unities of 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Situation

남자대학생의 의복 착용상황별 추구이미지와 패션상품통일체

  • Bae Hye-Jin (Dept. of Textile and Fashion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 Chung Ihn-Hee (School of Advanced Materials and Systems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배혜진 (금오공과대학교 섬유패션공학과) ;
  • 정인희 (금오공과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6.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sired seIf-images of 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situations, and to construct fashion product unities bought by male college students for different situations.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male students at 4 universities and 2 colleg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during June 2005, and 346 were analyzed, eliminating incomplete ones. Subjects were required to respond to 32 desired image words in 4 different situations respectively: school, meeting girlfriends, ceremonies, and exercise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desired self-image words, 5 factors were determined: refined image, sporty image, classic image, natural image and simple image. Based on the desired self-image factors, male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selective image management group, passive image management group, and active Image management group. Fashion product unity of male college students for the school setting was consisted of round shirts, jeans, running shoes, bags and watches. Aloha shirts/knitted shirts/V-neck shirts, cotton pants/jeans/semi -formal pants, formal shoes/running shoes and watches were the fashion product unity for the setting of meeting girlfriends. For the setting of ceremonies, the fashion product unity included Y-shirts, formal dress, formal shoes, neckties and watches. And for the setting of exercises, the fashion product unity included cotton shirts, training suits, running shoes/jogging shoes/basketball shoes, armguard and caps.

Keywords

References

  1. 고경순. (1992). 가치의식을 중심으로 본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과 레포츠 용품의 구매행동 분석. 광고연구, 17. 75-107
  2. 고애란. (1994). 국내 및 외국 상표 청바지의 구매의도에 따른 평가기준에 대한 신념과 추구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차이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263-272
  3. 김유덕, 김미영. (2004). 중.노년층 여성의 의복 추구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746-757
  4. 김윤경, 이경희. (2005). 트렌드 분석을 통한 남성 패션이미지 연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5), 703-714
  5. 김칠순, 이훈자. (1999). IMF 이후의 신세대 진바지 소비자들의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및 추구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진의류 시장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3(3), 447-458
  6. 남미우, 강혜원. (1994). 상황, 의복 단서 및 관찰자의 연령이 남자 의복 착용자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8(3), 311-326
  7. 남성매장, 넓고 감각있게. (2004, 9. 6). 패션인사이트, p. 2
  8. 롯데 百, 여성 메가 브랜드 확정. (2005, 3. 28). 패션인사이트, p.6
  9. 매크래캔, 그랜트. (1988). 문화와 소비. 이상율 옮김 (1996). 서울: 문예출판사
  10. 문정동에 남성복 몰린다. (2004, 9. 6). 패션인사이트, p. 12
  11. 박은주. (1992). 의복구매에 관련된 상황변수 연구-의복착용상황, 커뮤니케이션상황, 구매상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박정혜, 이선재. (2002). 추구 의복 이미지와 의복 태도에 따른 색조화장품 색선호도 연구.복식, 52(7), 87-102
  13. 배혜진, 강윤정, 김대옥, 정인희. (2005). 남자대학생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캐주얼스타일 선호. 복식,55(1), 86-100
  14. 송명진, 채금석. (2001).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성 정체성의 표현양상. 한국의류학회지, 25(2), 327-338
  15. 심준영, 김용숙. (2003). 생활한복의 착용상황에 따른 이미지와 구매의도. 복식, 53(3),155-163
  16. 오정선. (1996). 상황적 자기이미지에 의한 의류시장 세분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명희. (2002). 상황, 의복 유형 및 배색이 여성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3/4), 503-514
  18.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19. 정용희, 김창현. (2000). 남자대학생의 신체의식과 의복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8(3), 460-476
  20. 정인희, 이은영. (1992). 의복 이미지의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379-391
  21. 정인희, 이은영. (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0(1), 207-217
  22. 정인희. (2001). 여자대학생의 의복 추구이미지와 소재선호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4), 629-638
  23. 정인희. (2004). 학교 상황에서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이미지 용어 지각 및 추구이미지 지각 차원 차이. 복식문화연구, 12(2),199-210
  24. 최병용. (2000). 소비자행동론의 이해와 적용. 서울: 박영사
  25. 황진숙, 나영주. (1999). 남자대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의복이미지 선호의 관계 연구. 복식, 49, 65-72
  26. 황진숙, 신영필. (2001). 남자대학생의 점포이미지 선호가 의류제품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복식, 51(3), 51-58
  27. 황진숙, 이기춘. (2000). 남자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요인이 의복의 구매동기, 정보원활용, 의복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복식, 50(4), 63-72
  28. Anthis, K. S., Dunkel, C. S., & Anderson, B. (2004). Gender and identity status differences in late adolescents' possible selves. Journal of Adolescence, 27, 147-152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3.11.010
  29. Assael, H. (1998).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6th ed.). Cincinnati: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30. Davis, T. & Gregory, G. (2003). Creating diderot unities-quest for possible selve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0(1), 44-54 https://doi.org/10.1108/07363760310456946
  31. Dunkel, C. S. (2000). Possible selves as a mechanism for identity exploration. Journal of Adolescence, 23, 519-529 https://doi.org/10.1006/jado.2000.0340
  32. Markus, H. & Nurius, P. (1986). Possible selves. American Psychologist, 41(9),954-969 https://doi.org/10.1037/0003-066X.41.9.954
  33. Solomon, M. R. (1999). Consumer behavior: Buying, having, and being (4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34. Solomon, M. R. & Rabolt, N. J. (2004). Consumer behavior in fashion. New Jersey: Pearso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