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n Color Preference of BRICs Consumers

BRICs 지역 소비자 색채선호 비교

  • 최미영 ((재)한국컬러앤드패션트렌드센터) ;
  • 심영완 ((재)한국컬러앤드패션트렌드센터) ;
  • 신혜영 ((재)한국컬러앤드패션트렌드센터)
  • Published : 2006.07.01

Abstract

Color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factor in visual aspect influencing consumer's choice. However, the color preference varies as time passes, society changes, new culture develops, that is variable in its nature. And the underlying meaning or accompanying color image differs in every area. We believe the study on the color preference is meaningful, especially on BRICs market, recently gathering attentions for their market competitiveness and growth potential. For this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5 countries(including Korea) by 1:1 interview during 3 weeks in Aug. 2005. Usable data from 923 adult urban resident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Color chart for research was categorized by using COS Color System into KS standard color 10grades plus 1 neutral, with 5 grades of tones. Through this empirical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ANOVA, Duncan-test of SPSS Win(ver.10.0). The result generat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nalysis through hue & tone system reveals that preference on principle colors (R, Y, G, B, P) is higher than intermediate colors and pale, light, vivid tones were preferred to dare and deep tones. Second, personal color preference is reflected in color preference in fashion items. Thus, we may conclude color preference in fashion item largely influenced by country characteristics. Third, biggest difference by country from hue analysis are neutral and PB colors. Neutral, widely preferred color in every county, more preferred in India, Russia, Brazil than China. We expect this result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BRICs market.

Keywords

References

  1. 삼성 경제 연구소.(2005.8.17). 굿 디자인의 조건과 기업의 경영. CEO information, 514호. pp. 1-3
  2. Dominic, W. and Purushothaman, R.(2003). Goldman sachs research report: Dreaming with BRICs dreaming with BRICs: The Path to 2050. Global Economics Paper No. 99. Goldman Sachs
  3. 국가정보원(2004). BRICs 경제권 진출확대 방안. 국가정보원
  4. 재정경제부(2005). BRICs 국가와의 경협 증진방안 종합검토. 경제협력국 대외정책팀
  5. 日本能率協會.(1986). マーケテンワ 情報 ; 社報. 聯合 廣告, 2월호, p. 13. 재인용
  6. 국민대학교 환경디자인연구소(1998). 국제 비교분석을 통한 감성디자인 요소의 지역적 특성 추출 및 응용에 관한 연구. 산업자원부 공업기반기술 개발사업 기술개 발보고서
  7. 백선원(1991). 색채선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석재은(1993). 성인여성의 자아개념과 의복색채 선호도와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금숙(1992). 청년기의 의복색 기호와 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한인숙(1993). 지역적 특성이 아동의 색채선호에 미치는 영향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조회련(1993). 색채선호도와 이미지에 관한 조사연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Birren, F.(1968). Creativity and Personal Freedom. Van Nostrand Company, p. 9
  13. 전회순(1975). 기성복 개발을 위한 기본 치수의 필요성과 방법론-체형과 연령에 따른 색채와 디자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유경숙. 앞의 책
  15. 김영인, 문영애, 한소원(2000). 한국 성인 남녀의 의복 선호색. 한국의류학회지, 24(7), pp. 964-975
  16. 이명희, 김미영(2001). 기존의 색체연구유형과 선호색채연구의 분석. 복식, 51(3), pp. 33-50
  17. 김미영(2002). 일반색.의복색 선호도와 의복색 소유도의 특성 및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26(8), pp. 1165-1176
  18. 이권식(2000). 소비자구매행동에 미치는 포장디자인전략연구. 디자인진흥원. p. 57
  19. 김용훈(1987). 색채상품개발론. 청우. pp. 93-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