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Power Structure on Sexuality in Dress

권력 구조가 복식의 성적 표현에 미치는 영향

  • Lee Min-S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angmyung University)
  • Published : 2006.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how a power group in a society forms features of sexuality in dress.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first, historical research was undertaken to study in socioeconomic context in which sexuality has been formed and transformed. Second, demonstrative studies on sexual-image styles were undertaken through the analysis of pictures and photos. Thir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and sexuality in dress was done by literature research. Masculinity in dress, such as simplicity and concealment, corresponds to the attributes of the viewer, and femininity in dress, such as decoration and exposure, corresponds to the attributes of the viewee. Power struggle is the complex process of forming of the viewer-viewee relationship. The one who grasps the power becomes the viewer. In the shift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Society, powers are horizontally spread over the society and the stereotype of sexuality in both women's and men's dress is fading out. In the field of design, standards and certainty described by absolute power are losing their importance. The 'chaotic' view of a world filled with mutual exchange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and uncertainty of sexuality will be sure to be a dominant trend in fashion.

Keywords

References

  1. 송윤하(1998 ). 에로티시즘. 서울: 춘광, p.18
  2. McDowell, Col.in(1997). The man of fashion. London: Thames & Hudson, p.16
  3. Hollander, Anne(1994). Sex & suit. N.Y.: Alfred A. Knopf, p.77
  4. 현택수 편(1998). 문화와 권력 - 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p.7
  5. 현택수 편(1998). 문화와 권력-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p.7
  6. 이희승 편저(1998). 국어사전. 서울: 민중서림
  7. 양운덕(2003). 미셸 푸코. 서울: 살림, p.13
  8. 민영택(1968). 정치학 사전. 서울: 문영각, p.351
  9. 양운덕(2003). 미셸 푸코. 서울: 살림, p.16
  10. Foucault, Michel(1976). L'histoire de la sexualite, 1. Galiimard, p.122
  11. 양운덕(2003). 미셸 푸코. 서울: 살림, pp.18-23
  12. Foucault, Michel. 정일준 편역 (1994). 미셸 푸코의 권력 이론. 서울: 새물결, pp.91-93
  13. 서울 사회 과학 연구소(1997). 맑스, 프로이트, 니체를 넘어서: 근대성의 이론적 비판. 서울: 샛길, p.48
  14. Foucault, Michel. 정일준 편역 (1994). 미셸 푸코의 권력 이론. 서울: 새물결, p.93
  15. Poster, Mark, 조광제 역 (1992), 생산양식 대 정보양식: 푸코와 마르크스주의. 서울: 민맥, p.63
  16. Poster, Mark, 조광제 역 (1992). 생산양식 대 정보양식: 푸코와 마르크스주의. 서울: 민맥, pp.64-68
  17. Foucault, Michel. 정일준 편역 (1994). 미셸 푸코의 권력 이론. 서울: 새물결, p.93
  18. Porat, Marc (1977). The information economy: volume 1. defonition and measurement. Washington, DC: Department of Commerce, p.8
  19. Porat, Marc (1977). The information economy: volume 1. defonition and measurement. Washington, DC: Department of Commerce, p.8
  20. Poster. Mark, 조광제 역 (1992). 생산양식 대 정보양식: 푸코와 마르크스주의. 서울: 민맥, p.68
  21. Poster. Mark, 조광제 역 (1992). 생산양식 대 정보양식: 푸코와 마르크스주의. 서울: 민맥, p.96
  22. Poster. Mark, 조광제 역 (1992). 생산양식 대 정보양식: 푸코와 마르크스주의. 서울: 민맥, p.68
  23. 현택수 편 (1998). 문화와 권력 - 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p.9
  24. 이광래 (1995). 미셸 푸코. 서울: 민음사, p.57
  25. 이광래 (1995). 미셸 푸코. 서울: 민음사, pp.186-187
  26. 이광래 (1995). 미셸 푸코. 서울: 민음사, pp.202-205
  27. Fromn, Erich & Osborn, Richard, 김기태 역 (1992). 정신분석과 유물론. 서울: 선영사, p.66
  28. Fromn, Erich & Osborn, Richard, 김기태 역 (1992). 정신분석과 유물론. 서울: 선영사, p.62
  29. S. Hall, Calvin, 지경자 역 (1993). 프로이트 심리학 입문. 서울: 홍신문화사, p.45
  30. Poster, Mark. 조광제 역 (1992). 생산양식 대 정보양식: 푸코와 마르크스주의. 서울: 민맥, p.101
  31. 이광래 (1995). 미셸 푸코. 서울: 민음사, p.57
  32. Craik, Jennifer (1993). The Face of Fashion. London: Routledge. p.181
  33. 현택수 편 (1998). 문화와 권력 - 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pp.206-207
  34. 현택수 편 (1998). 문화와 권력 - 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p.208
  35. 현택수 편 (1998). 문화와 권력 - 부르디외 사회학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pp.208-211
  36. Steel. Valerie (1985). Fashion and eroticism. London: Oxford Uni. Press, p.102
  37. 최현숙 (2000).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페미니즘.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Northrup, B. (1936). An approach to the problem of costume and personality, Art Education Today II, pp.94-104
  39. Morton, G.M.(1978). The art of costume and personal appearance. N.Y.:John Wiley & Sons
  40. Hastie, R.T. & Widger. R.F.(1976). New insight into meaning of masculinity & femininity in dress. ATPTC comboned proceedings. Georgia: Georgian center fog continuing education, Univ. of Georgia
  41. Davis, M.N.(1980). Visual Design in Dress. N.Y.: Prentice-Hall, Inc
  42. Roach, M.A. & Eicher, J.B.(1973). The visible self N.Y.: Englewood Cliffs
  43. Northrup, B. (1936). An approach to the problem of costume and personality, Art Education Today II, pp.94-104
  44. Sears, J.O. & Carlsmith, J.M. (1981). Social psychology. New Jersey: Prentice-Hall, Inc., pp.491-500
  45. Sandra, L. Bem.(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y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pp.155-162
  46. Deux, Kay, 이혜성 역 (1986). 남녀행동 연구. 서울: 이화문고
  47. 유홍식, 황선진 (2003). 패션 잡지에 나타난 양성 이미지의 사회적 의미 변화에 관한 연구(I). 복식문화연구, 11(6), p.854
  48.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89
  49. 이유미 (2001). 패션 트렌드에 나타난 퓨전 스타일에 대한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8
  50. Hallander, Anne(1994). Sex & suit. N.Y.: Alfred A. Knopf, p.129
  51. Late 60's Fashion Style(2003). Tokyo: P.I.E Books, p.122
  52. Lurie, Alison, 유태전 역 (1986). 의복의 언어. 서울: 경춘사, p.63
  53. Arena. March 2000, p.171
  54. McDowell, Col.in (1997). The man of fashion. London: Thames & Hudson, p.59
  55. View. Autumn 2002, No.59, p.191
  56. Lurie, Alison, 유태전 역 (1986). 의복의 언어. 서울: 경춘사, p.176
  57. View. Summer 2005, No.70, p.284
  58. Fuchs, Edward, 이기웅, 박종만 역 (1991). 풍속의 역사 IV. 서울: 까치. 1991
  59. Fuchs, Edward, 이기웅, 박종만 역 (1991). 풍속의 역사 IV. 서울: 까치, p.21
  60. Steel, Valerie(1985). Fashion and eroticism. London: Oxford Uni. Press, p.102
  61. Wilson, Elizabeth (1985). Adorned in dreams: Fashion and modernity, London: Virago Press, p.180
  62. Wilson, Elizabeth (1985). Adorned in dreams: Fashion and modernity, London: Virago Press, p.200
  63. Turner, Bryan. 임인숙 역 (2002). 몸과 사회. 서울: 몸과 마음, p.29
  64. 임은혁 (2006). 복식에 표현된 몸의 재현성과 비재현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9
  65. Strolley, Richard B. (2000). Life our century in pictures. London: A Bulfin Press Book, p.264
  66. Polhemus, Ted (1997). Street style. London: Thames & Hudson, p.35
  67. Berger, John, 편집부 역 (1990). 이미지. 서울: 시각과 언어, p.249
  68. Mirzoeff, Nicholas, 이윤희 이필 역 (1999). 바디스케이프. 서울: 시각과 언어, pp.58-59
  69. Brooks, Peter, 이봉지, 한애경 역 (2000). 육체와 예술. 서울: 문학과 지성사, p.200
  70. 송윤하 (1998). 에로티시즘. 서울: 춘광, p.43
  71. Berger, John, 편집부 역 (1990). 이미지. 서울: 시각과 언어, p.111
  72. Wright, Elizabeth, 박찬부, 정정호 역 (1997).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 서울: 한신문화사, p.706
  73. 김정란 (1993). 푸코 권력 이론의 여성 해방적 함의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
  74. 이광래 (1995). 미셸 푸코. 서울: 민음사, p.3
  75. Foucault, Michel, 홍성민 역 (1991). 권력과 지식. 서울: 나남, p.88
  76. Foucault, Michel, 홍성민 역 (1991). 권력과 지식. 서울: 나남, p.152
  77. 김정란 (1993). 푸코 권력 이론의 여성 해방적 함의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6
  78. Fisher, Helen, 정명진 역 (2000). 제1의 성. 서울: 생각하는 나무, p.44
  79. Hollander, Anne(1994). Sex & suit. N.Y.: Alfred A. Knopf, p.22
  80. 최현숙 (2000).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페미니즘.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3
  81. Kent, Sarah & Morreau, Jacqueline, 정소영 역 (1996). 여성이 갖고 있는 남성의 이미지. 서울: 삼신각, pp.120-26
  82. McDowell, Coline(1997). The man of fashion. London: Thames & Hudson, p.132
  83. McDowell, Coline(1997). The man of fashion. London: Thames & Hudson, p.194
  84. Steel, Valerie(1985). Fashion and eroticism. London: Oxford Uni. Press, p.29
  85. View. 2005 Winter, No.68., p.63
  86. View. 2005 Winter, No.70., p.54
  87. Edward, T.(1997). Men in the mirror: men's fashion, masculinity and consumer society. London: Cassell, Wellington House, p.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