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Geoje Is.

거제도 남동부 연안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 Lim, Kyeong-Hun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g-Ho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Hyun-Chool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임경훈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이정호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신현출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Published : 2006.12.01

Abstract

This study was seasonally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Geoje Is., in February 2004 to November. The macrobenthic fauna showed mean density of 953 md. $m^{-2}$ in February, 1,193 ind. $m^{-2}$ in May, 1,130 ind. $m^{-2}$ in September and 991 ind. $m^{-2}$ in November. Major faunal groups are polychaetes, crustaceans and mollusks, corresponding to 81.6%, 7.9%, 7.0% in total mean density during the sampling seasons,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two-way ANOVA, p<0.001) among stations in densities of polychaetes. Bu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could be found between the densities of polychaetes and sampling seasons (two-way ANOVA, p>0.05). The density and the species number of polychaetes were high in the coastal area near the Jisepo port, independent of sampling seasons. Several indicator species for the organically enriched environments such as Lumbrineris longifolia, Tharyx sp., Heteromastus filiformis showed high densities during all study periods. Also Magelona japonica included in Ecolgical group I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whole study period except for February. Cluster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species composition showed tha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3 regions. The density of benthic polychaetes in the coastal area near Jisepo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assemblages of the study area, due to some predominant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Lumbrineris longifolia, Tharyx sp. and Heteromastus filiformis. In addition, the two-way ANOV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stribution of AMBI (AZTI's Marine Biotic Index) values, both in sampling stations (p<0.001) and seasons (p<0.01).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proposed by Borja et at. (2000), the study area was slightly disturbed site.

2004년 2월, 5월, 9월 11월의 총 4회에 걸쳐 거제도 남동부 연안에 총 26개의 정점을 선정하고 저서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표층 퇴적물의 입도 조성은 대체적으로 연안에서 다소 조립하였고 외해로 갈수록 세립화 되었으며, 연구 해역의 주요 퇴적상은 mud로 구성 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전체 연구기간동안 평균 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1,067개체 $m^{-2}$이었다. 이 중 모든 계절에서 우점하는 동물군은 다모류로서 4계절 평균 871개체 $m^{-2}$의 서식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전체 저서동물의 출현개체수 중 $77.3{\sim}87.0%$를 차지하여 높은 우점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다모류 서식밀도의 공간적 분포는 뚜렷한 차이를 보여 지세포항 인근 해역과 북쪽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내었으나, 계절적 변동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계절동안 우점한 다모류는 Magelona japonica, Ampharete arctica, Heteromastus filiformis, Lumbrineris longifolia, Tharyx sp. 등이었다. 집괴분석의 결과 본 연구 해역은 지세포항 인근 연안역의 정점군, 진해만의 입구와 인접한 북쪽 해역의 정점군 그리고 남쪽 해역의 정점군과 같이 크게 3개의 정점군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대체적으로 외해의 정점군에서는 생태그룹 II에 속하는 종들이, 연안의 정점군에서는 생태그룹 IV의 기회종들이 특징종으로 나타나 각 정점군의 유사성에 대한 높은 기여율을 보였다. 생태그룹 II와 III의 출현비율은 계절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태그룹 I, IV의 각 정점별 출현 비율은 시 공간적으로 뚜렷한 변동을 보였으며 AMBI 역시 공간적, 계절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AMBI는 대체로 지세포항 인근 해역에서 매우 높았고 외해역에서 다소 낮은 경향이었으며 지세포항 내에 위치한 정점은 '심각한 교란(heavily disturbed)'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연구 해역 전반적으로 '경미한 교란(slightly disturbed)'을 나타내고 있었다. 지세포항 인근 연안역의 저서생태계는 다소 불안정하거나 교란된 군집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연구 해역 전반적으로는 계절적으로 큰 변동 없이 비교적 안정된 군집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사흥, 김 원. 1998. 거제도의 해산 십각류. 한국동물분류학회지 pp. 293-309
  2. 박흥식, 최진우, 이형곤. 2000.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3:1-8
  3. 신현출, 고철환. 1990.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시 . 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25:205-216
  4. 유옥환, 이형곤, 이재학, 김동성. 2006. 경기만에서 해사채취가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Ocean and Polar Research. 28: 129-144 https://doi.org/10.4217/OPR.2006.28.2.129
  5. 이종위.1998. 거제도 다모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한국동물분류학회지 14:243-255
  6. 임경훈, 신현출, 윤성명, 고철환. 2005. 진해만 대형 저서동물군집의 공간 분포. 한국환경공학회. 2005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 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pp. 2073-2090
  7. 임현식, 박경양. 1998.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문집. 2. 여름철 빈산소 수괴의 출현과 저서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1:343-352
  8. 임현식, 홍재상. 1997.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3.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0:175-187
  9. 임현식, 최진우, 제종길, 이재학. 1992. 진해만 양식장 밀집지역의 저서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5:115-132
  10. 장창익, 윤상철, 이선걸, 최진우. 2004. 거제 연안산 개조개, Saxidomus purpuratus의 자원생태 학적 연구. 한국수산자원학회지. 6:126-139
  11. 정래홍, 홍재상, 이재학. 1997.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0:730-743
  12. 차병열. 1999. 거제도 연안해역의 어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11:191-197
  13. Borja A, J Franco and V Perez. 2000. A Marine Biotic Index to Establish the Ecological Quality of Soft-Bottom Benthos Within Europea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Mar. Pollu. Bull. 40: 1100-1114 https://doi.org/10.1016/S0025-326X(00)00061-8
  14. Clarke, KR and RM Warwick. 2001.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IMER-E Ltd., Poly mouth. UK
  15.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 Sed. Perol. 27:326
  16. Grizzle RE. 1984. Pollution indicator species of macrobenthos in a coastal lagoon. Mar. Ecol. Prog. Ser. 18: 191-200 https://doi.org/10.3354/meps018191
  17. Hong JS. 1987. Summer oxygen deficency and benthic biomass in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J. Oceanol. Soc. Korea. 22:246-256
  18. Hong JS and JH Lee. 1983. Effects of the pollutio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18: 169-179
  19. Horng CY and GL Taghon. 1999. Effects of contaminated sediments on particle size selection by the polychaete Capitella sp. I. J. Exp. Mar. BioI. Ecol. 242:41-57 https://doi.org/10.1016/S0022-0981(99)00093-3
  20. Jumars PA. 1975. Environmental grain and polychaete species diversity in a bathyal benthic community. Mar. BioI. 30:253-266 https://doi.org/10.1007/BF00390748
  21.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157-175
  22. McNaughton SJ. 1968. Structure and function in California grassland. Ecology. 49:962-972 https://doi.org/10.2307/1936547
  23.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T. Theoret. BioI. 13: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24. Rhoads DC. 1974. Organism-sediment relations on the muddy sea floor. Ocean Mar. BioI. Ann. Rev. 12:263-300
  25.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pp.177 Univ. Illinois, Press, Urbana
  26. Tsutsumi H, T Kikuchi, M Tanaka, T Higashi, K Imasaka and M Miyazaki. 1991. Benthic faunal succession in a cove organically polluted by fish farming. Mar. Poll. Bull. 23:233-238 https://doi.org/10.1016/0025-326X(91)90680-Q
  27. Underwood AJ and MG Chapman. 2005. Design and Analysis in Benthic Surveys. In Methods for the study of marine benthos (Eleftheriou A and A McIntyre eds.). Blackwell Publishing Company. pp. 1-42. Blackwell Science Ltd. UK
  28. Weston DP. 1990. Quantitative examina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changes along an organic enrichment gradient. Mar. Ecol. Prog. Ser. 61:233-244 https://doi.org/10.3354/meps061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