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동남권 지역의 서비스산업 생산성 분석

A Productivity Analysis of Service Sector of the Southeast Region of Korea

  • 발행 : 2006.08.31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동남권 지역, 즉 부산, 대구, 울산, 경북 및 경남에 한정하여 16개 서비스업종을 5개 지식기반 및 11개 비지식기반 서비스업으로 분류하여 통계청 자료를 통해서 $1996{\sim}2004$년 기간 동안에 생산성 성과의 지역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DEA 방법을 적용한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통한 추정 결과에 의하면, 첫째로 전 기간 동안 비지식기반 서비스업의 생산성 증가율이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생산성 증가율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반기($1996{\sim}2000$)에 2.1%p 격차에서 후반기($2001{\sim}2004$)에 0.6%p로 그 격차가 줄어들었다. 따라서 최근에 후자의 생산성 향상이 전자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둘째로 시 도별 생산성 성과를 비교해 보면, 대구의 경우에 5개 지식기반 서비스업종을 포함하여 7개 업종이 상대적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울산과 부산 지역의 상대적 우위 업종이 많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지만 경북은 2개 업종만 상대적 우위에 있을 뿐, 8개 업종에서 상대적 열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regional productivity performance of Southeast region of Korea, namely, Busan, Daegu, Ulsan, Gyeongbuk, and Gyeongnam for 16 service sectors, which are categorized by two groups, knowledge based service (5 sectors) and non-knowledge based one (11 sectors) for the period of 1997-2004. This study applied the method of Malmquist productivity change index(MPI) to the estimation of spatial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firstly, the MPI of service sector has been deteriorated by annually 0.1% on average. However, when we divided the period into 1997-2000 and 2001-2004, the productivity performances of the second period was better than that of the first period, which are the same trend in knowledge based and non-knowledge based service sectors. Secondly, comparing productivity performances by region and sector during the whole period, Daegu has seven sectors which are relatively comparative advantage. and Ulsan and Busan have six and five sectors, respectively, which are relatively comparative advantag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