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of Material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 of Superior Families - Tracheid Length, Microfibril Angle, Resin Canal and Specific Gravity -

소나무 우량 가계별 기초재질 변이 - 가도관,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 수지구 분포 및 전건비중을 중심으로 -

  • Park, Beyung-Su (Department of Forest Product Engineering,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 Park, Jung-Hwan (Department of Forest Product Engineering,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 Han, Sang-Urk (Departmen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박병수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 박정환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 한상억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e quality of wood is largely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xylem tissue and their variation. They may include tracheid length, microfibril angle, distribution and amount of resin canal, as well as specific gravity as indicator of material properties. In this study, variation of these elements between and within 30 superior families of Pinus densifloa in progeny test forest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elongation ratio of tracheid length which is less than 1%, the sample tree showed a transition to matured wood after 13 years particularly in Kangwon 25, 30, 90, 56 and Chungnam 4 families. The average specific gravity were from 0.35 to 0.49, and differences between the families were significant. Number of transverse resin canal per unit area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between the families. The microfibril angles measured at 15th ring number ranged from 0.9 degree to 28.6 degree. More studies are necessary to tell whether these variation is inherited by genetic or individual characteristic. However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ese elements be considered as key elements in the early stage of selection process of superior tree to ensure good quality of wood production in future.

재질이 우수하고 균일한 목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목부조직의 재질과 구성세포의 변동패턴 및 생장 기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육림기술 지침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우량가계의 차대 검정림에서 가계별 재질특성에 영향하는 인자 중 섬유장, 비중,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 수지구 분포비율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사방향 가도관 길이 변이는 강원26, 30, 90, 56호 및 충남 4호는 $11{\sim}13$년 사이에서 가도관 길이 신장률이 1% 이하로 안정되었으며, 13년을 기점으로 매우 빠르게 성숙재로 전환 되었다. 전건비중은 $0.35{\sim}049$의 범위에 있었으며, 가계별로는 강원26호가 0.35로 가장 작고, 강원57호가 0.49로 가장 컸으며, 각 가계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mm^2$당 수평수지구는 강원79호가 1.1개로 가장 적고, 강원83호는 1.7개로 많았으며, 가계별 차이가 인정되었다. 성숙재의 평균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은 $9.0{\sim}28.6^{\circ}$의 범위 내에 속하며 강원74호가 $9.0^{\circ}$로 가장 작고, 충남4호가 $28.6^{\circ}$로 가장 크며 가계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