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pplicability of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 Considering Spatial Distribution of Sampling Points

지하수 함양량 추정시 공간상에서의 자료 Sampling 방법에 따른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의 적용성에 관한 검토

  • Kim Tae-Hee (Groundwater and Geotherm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Yong-Je (Groundwater and Geotherm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Lee Kang-Keun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태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 김용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 이강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Kim and Lee (2005) suggested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 (MED) to estimate the temporal sequence of the relative recharge. However this study by Kim and Lee (2005) was just related to the verification of the conceptual approach with MED. In this study, we try to characterize the applicability of MED in the case of spatially heterogeneous recharge (distance from recharge area). Simulated results were recorded with some specific sampling points. Estimated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higher than 0.8 in cross-correlation with the original recharge sequence. In addition, the physical and mathematical meanings of the applied filter length was also investigated. It was revealed that the length of filter is highly related to the spatial distance between recharge area and the monitoring site, and the apparent shape of hydraulic head change.

Kim and Lee(2005)는 기존의 지하수위 변동법과는 달리 지진학에서 관측된 지진파 자료로부터 진원에서의 최초 파형을 추정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인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MED)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의 시간적 변화의 추정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MED 자체의 적용 기능성에 대한 검토만을 다루고 있을 뿐, 다양한 경우에 대한 고려는 사실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함양지의 공간적 분포 및 함양지와 수위 관측지점 간의 공간적 분포에 따라 ME 적용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수치모의 영역의 일부에만 지하수 함양량을 적용하고, 함양지로부터 거리에 따라 수치모의 결과를 모니터링 하였다. 이 때 적용된 수리전도도 분포는 균질한 경우와, 수리전도도의 난수장의 경우 두가지를 적용하였다. 각각의 수치모의 결과에 MED 를 적용하여 상대 지하수함양량의 시계열을 추정하고, 이 결과를 원래 가정한 지하수 함양량의 시계열과 상호상관성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이 때 거의 모든 추정값은 원래 가정한 함양량의 시계열과 0.8 이상의 상호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이와 함께, 필터 길이의 불리적, 수학적 의미를 함께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해 필터의 길이는 지하수위 변화의 겉보기 모양과 함양지로부터의 거리와 밀접히 관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희, 2001,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analyzing hydraulic information of the groundwater flow system,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 Carbrelli, A.C., 1984,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 and simplicity: a non iterative algorithm, Geophysics, 50(3), 394-413 https://doi.org/10.1190/1.1441919
  3. Rai, S.N., Manglik, A., and Singh, V.S., 2006, Water table fluctuation owing to time-varying recharge, pumping and leakage, Journal of Hydrology, 324, 350-358 https://doi.org/10.1016/j.jhydrol.2005.09.029
  4. Scanlon, B.R., Healy, R.W., and Cook, P.G., 2002, Choosing appropriate techniques for quantifying groundwater recharge, Hydrogeology Journal, 10(1), 18-39 https://doi.org/10.1007/s10040-001-0176-2
  5. Kim, T.H. and Lee, K.K., 2005, Estimation of relative recharge sequence to groundwater with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 Journal of Hydrology, 311, 8-19 https://doi.org/10.1016/j.jhydrol.2004.12.005
  6. Wang, H.F. and Anderson, M.P., 1982, Introduction to Ground-water Modeling: Finite Difference and Finite Element Methods, W.H. Freeman and Company, p. 87-88
  7. Wiggins, R.A., 1978, Minimum entropy deconvolution, Geoexpo ration, 16,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