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vorable Colors on the Facial Color Types of Korean Adult Females

한국 여성의 얼굴 피부색 유형에 어울리는 색채에 대한 연구

  • Kim Ku-Ja (Dept. of Fashion Design & Textiles, Inha University)
  • 김구자 (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e colors of apparel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acial color types of consumers. To extract the favorable colors that flatter to consumer's facial color types, the facial colors of Korean females were analyzed. With color meter JX-777, 2 points of face were measured and classified into 3 clusters that had similar hue, value and chroma. Other new 10 college girls were measured and 3 subject among them were selected by the criteria that choose new subjects who have the classified facial color types. 175 respondents answered the degree of becomingness of color samples on three subjects. Data were analyzed by K-means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Win. 12. Findings were as follows: 1) 324 subjects who had YR facial colors were classified into 3 facial color groups. The average facial color Type 1 was 4.82YR 6.47/3.70 and composed 48.88% among total observations. Type 2 was 5.99YR 6.12/4.12 and 30.25%. Type 3 was 5.15YR 7.07/4.97 and 20.99% respectively. 2) Favorable colors for Type 1 were 18 colors that belonged to 'a' group from among colors that were divided into a, b, c group by Duncan post hoc test. 3) Type 2 showed that this type had many unfavorable colors. Unfavorable colors were 18 colors that belonged to 'c' by Duncan test. 4) Type 3 showed that black is the most favorable color and 18 colors were at middle level, which belonged to 'b' from among 18 colors that were divided into a, b, and c by Duncan test.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국지연, 김연주. (2002). 피부과학. 서울: 청구문화사
  2. 김구자. (2003). 한국 성인 남성의 피부색 분류와 선호색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338-1349
  3. 김구자. (2005). 한국 남성의 열굴 피부색 판별을 위한 색채 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959-967
  4. 김구자, 정혜원. (2002) 한국 노인 여성의 피부색 분류와 선 호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303-314
  5. 김구자, 정혜원. (2005). 한국 여성의 얼굴 피부색 판별을 위 한 색채 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978- 986
  6. 김미영. (2002). 일반색 . 의복색 선호도와 의복색 선호도와 의복색 소유도의 특성 및 차이. 한국의류학회지, 26(8), 1165-1176
  7. 김민경. (1999). 튀는 색깔이 뜨는 인생을 만든다. 서울: 명진 출판
  8. 김영인, 문영애, 한소원. (2000). 한국 성인 남녀의 의복선호 색. 한국의류학회지, 24(7), 964-975
  9. 김윤경, 강경자. (2003). 의복스타일과 색상. 톤조합이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3/4), 395-406
  10. 김지은. (1989). 우리나라 도시여성의 기성복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박화순. (2001). 대학생들의 피부색과 머리카락색에 따른 개 인색채 유형분류-대구.경북지역을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3), 516-524
  12. 박희성, 이동연. (1998).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색채계획 의 고찰. 디자인학연구, 11(3), 6-14
  13. 이민아, 김구자. (2002). 한국 여성의 피부색 분류와 의상선 호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133-143
  14. 이정옥, 권미정, 박영실. ( 1995). 한국 도시여성의 얼굴색과 의복색과의 배색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2), 168-180
  15. 우윤정. (1999). 한국 여성의 피부색, 얼굴색, 화장색에 관한 연구-20대에서 50대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건국대 학교 산업대학원 섬유산업학과 의상디자인전공 석사학위 논문
  16. 유숙희, 김보연. (2001). 성인 남성의 의복색 선호와 색채관 심에 관한 연구-연령, 성격, 피부색을 중심으로-. 복식 문화연구, 9(2), 308-318
  17. 장길환. (1994). 색채기호의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I). 한국 색채교육학회지, 3, 26-27
  18. 한국표준연구소. (1991). 한국 표준색 표집. 서울: 공업 진흥청. 한국방송공사
  19. 한국유행색산업협회. (1997). COS color system. 서울: 한국 유행색산업협회
  20. Albers, J. (1975). Interaction of color. New Haven &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1. Carole, J. (1987). Color me beautiful, 17-25, New York: Ballantine Books
  22. Chambers, B. G. (1975). Color and design. New York: Prentice Hall, Inc
  23. Davis, M. L. (1980). Visual design In dress. New York: Prentice Hall, Inc
  24. Kenneth, R. E, & Cherie F. (2000). Color the secret influence. New Jersey: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25. McJimsey, H. T. (1973).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26. Roy, S. B. (2000). Billmeyer and saltzman's principles of color technology (3rd ed.)
  27. 색채학원론. 조맹섭, 김창순, 강병호, 김동호 옮김 (2003). 서울: 시그마 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