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Background : IS6110 DNA fingerprint is a very useful tool for investigating the transmission of tubercul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pidemiological situations within a given area (one province). Methods : The 681 Mycb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from patients, who were registered at health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from May to December in 2004, were subjected to IS6110 DNA fingerprinting. Patients belonging to clusters were interviewed by health-workers to determine their previous contacts or household TB history. Results : The number of IS6110 copies of the 681 isolates showed diverse fingerprint patterns from 0 to 21 of which the most prevalent copy number was 10 from 120 isolates (17.6%). Thirty-three isolates (4.8%) belonged to the K strain, and 128 isolates (18.8%) belonged to the K family. There were 180 (26.4%) isolates belonged belonging to fifty clusters, of which two clusters were within household transmission. Forty-three (23.9%) out of 180 patients resided in an area under the same health center control. The rate of clusters in those aged 60-70 was higher than in any other age group ( 95% CI of RR : 1.072 ~ 1.988). Conclusion :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 epidemiological survey based on a whole province using a DNA fingerprinting technique for M. tuberculosis.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a program or policies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TB.
배 경: 결핵균 DNA 지문분석은 전염경로를 파악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는 결핵균 DNA 지문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일개 지역(도 단위)에서 분리된 결핵균에 대하여 역학적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5월부터 12월 까지 경기도내 보건소에 등록되는 모든 결핵환자의 검체로부터 분리된 681개 결핵균주에 대해서 DNA 지문 검사를 실시하였다. Cluster로 나타난 환자들에 대해서는 전파경로의 파악에 도움을 얻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한 역학조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681균주 중에서 IS6110의 copy 수는 0개에서 21개로 다양하였고, 그 중 10개가 120균주(17.6%)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K 균주는 33 균주(4.8%)이었고, K family에 속한 균주는 128주(18.8%)였다. 또한 681균주 중에서 180명(26.4%)의 환자들이 포함된 50 종류의 cluster를 발견하였고, 50 종류의 cluster 중에서 같은 가족 내 감염이 2건이었고, 180명 중 근접지역 감염이 43명(23.9%)이었다. 연령대별 cluster 비율은 남녀 모두 60대 이후와 2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최초로 일개 지역(도 단위)을 중심으로 한 cluster의 분포율, 근접지역의 cluster 비율, 연령대별 cluster 비율 등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지속적이며 더 확대된 대상으로 철저한 역학조사와 더불어 수행한다면, 결핵전염관리 대책을 세우는데 매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