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nalysis on NIMBY Facility and Location - Suyeong·Nambu·Haeundae Sewage Disposal Plants Cases -

기피시설 입지의 지역별 비교 및 결정요인 분석 - 수영·남부·해운대하수처리장 사례중심 -

  • 최열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최재도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6.01.20
  • Accepted : 2006.02.13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neighboring within sewage disposal plant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location of sewage disposal plants, an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to impact on the sewage disposal plants.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odel and regression model are employed as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is research.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as a rule, most of residents represented the sewage disposal plants are essential public facilities. The sewage disposal plants c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under proper compensation and negotiation, It i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against accomplishing process of the sewage disposal plants facilities are very low.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determinants to impact on the sewage disposal plants showed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current location of sewage disposal plants. It means that there are no absolutely concrete reasons to oppose the sewage disposal plants and they can be somewhat different by the each lo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se findings provide for the policy makers related with the NIMBY facilities including the sewage disposal plants with valuable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주민기피시설인 하수처리장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하수처리장에 대한 일반인식과 설치 후 환경변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지역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다루고자 하였다. 또한 하수처리시설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하수처리시설은 사회적으로 필요한 시설이며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진다면 긍정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시설이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하수처리시설의 시행과정에 대한 평가는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하수처리장의 입지와 관련된 결과에서 하수처리장이 자신의 주거지 근처에 입지함에 따른 환경변화에 대한 인식은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그러한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지역별로 다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앞으로 하수처리장뿐만 아니라 주민들이 기피하는 시설을 건설하고자 하는 경우에 어떤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상지역의 여건과 주민의 반향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원용(1993) 도시계획분야에 있어서 협상론의 도입을 위한 시론적 고찰, 국토계획, 제28권 4호, pp. 5-16
  2. 부산광역시 동래구(2003) 통계연보 2002
  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2003) 통계연보 2002
  4. 부산광역시 남구(2003) 통계연보 2002
  5. 이달곤(1993) 환경갈등관리 : 입지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31권 제1호, pp. 303
  6. 이수장(1996) 기피시설입지의 갈등해소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p. 1-13
  7. 최열 (1999) 근린환경 및 공공시설에 대한 주거형태간 평가 특성 - 부산지역사례, 국토계획, 제34권 2호, pp. 79-91
  8. 최열, 손태민, 김성이 (2000) 님비(NIMBY)시설이 주변 주거지역 지가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35권 제 1호, pp. 152
  9. 최열, 김진호, 장현창(2005) 사회복지시설 입지에 따른 지가 영향력 추정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제25권, pp. 132-141
  10. Bachrach, K. M. and Zauta A. J. (1985) Coping with a community stressor: The Threat of a hazardous waste facilit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26, pp. 127-141 https://doi.org/10.2307/2136602
  11. Bord, R. J. (1987) Judgements of policies designed to elicit local cooperation on LLRW disposal siting: comparing the public and decision makers, Nuclear and Chemical Waste Management, Vol. 7, pp. 99-105 https://doi.org/10.1016/0191-815X(87)90005-2
  12. Dear, M. (1992)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th the NIMBY syndrome,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pp. 288-300
  13. Gamble H. B. and Downingr. R. H. (1982) Effect of nuclear power plants on residential value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Vol. 22, pp. 457-478 https://doi.org/10.1111/j.1467-9787.1982.tb00770.x
  14. Hunter, S. and Leyden, K. M. (1995) Beyond NIMBY: Explaining opposition to the hazardous water facilities, Policy Studies Journal, Vol. 23, pp. 601-619 https://doi.org/10.1111/j.1541-0072.1995.tb00537.x
  15. Lake, R. W. (1993) Planners alchemy transforming NIMBY to YIMBY- rethinking NIMBY,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pp. 8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