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Flood Runoff Forecasting System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Development & Application of GUI_FFS -

인공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홍수유출 예측 시스템 개발 - GUI_FFS 개발 및 적용 -

  • 박성천 (동신대학교 토목공학과) ;
  • 오창열 (동신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김동렬 (건설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도로공사과) ;
  • 진영훈 (동신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5.05.06
  • Accepted : 2006.01.19
  • Published : 2006.03.30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a nonlinear model of rainfall-runoff process using Artficial Neural networks(ANNs) which have no consideration on the physical parameter for the basin was developed at Naju station which is the main stream of Yeongsan-river, and Sunam station which is the main stream of Hwangryong-river. The result from the model of ANN_NJ_9 at the Naju station revealed the best result of the rainfall-runoff process, while the model of ANN_SA_9 for the Sunam station. Also, GUI_FFS developed in the research showed the $R^2$ of more than 0.98 between the observed and predicted values using the rainfall and runoff in the respective stations. Therefore, the GUI_FFS might be expected that it can play a role for the high reliability to operate and manage the water resources and the design of river plan more efficiently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유역의 본류를 대표하는 나주지점과 황룡강 유역을 대표하는 선암지점에 대하여 물리적인 매개변수를 이용하지 않는 인공신경망 이론을 이용하여 강우-유출 과정의 비선형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 나주지점에서는 ANN_NJ_9 모형이 선암지점에서는 ANN_SA_9 모형이 강우-유출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GUI_FFS에 대하여 기 확보된 강우 및 유출량을 적용한 결과 실측치와 예측치 간에 0.98이상의 $R^2$값을 보임으로서 향후 수자원 및 하천계획 수립과 그에 따른 운영 및 관리에 효율성을 더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환(1993)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하천 유출량의 수문학적 예측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 박성천, 하수정(2003) GANN에 의한 하천의 수질예측,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6-B호, pp. 507-514
  3. 영산강 홍수통제소(1998-2004), 한국수문조사연보, 건설교통부
  4. 오창열, 박성천, 이한민, 표영평(2002) 신경망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예측,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3-B호, pp. 371-382
  5. 윤강훈, 서봉철(2004c) 댐방류량을 이용한 한강 유역 신경망 유출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1-B호, pp. 47-53
  6. 윤강훈, 서봉철, 신현석(2004a) 신경망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홍수기 댐유입량 예측,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호, pp. 67-75
  7. 윤강훈, 서봉철, 신현석(2004b) 신경망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하도유출 예측 및 홍수예경보 이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2호, pp. 145-154
  8. 이관수, 박성천, 이한민, 진영훈(2000) 인공신경망 이론의 B.P. 알고리즘을 적용한 영산강의 유출량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5B호, pp. 679-688
  9. 이정규, 박성제(2003) 다층신경망을 이용한 첨두유량 예측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2B호, pp. 105-114
  10. 전계원(2004), 홍수유출과 수질예측을 위한 Web기반 시스템의 활용,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1. Hsu, K.-L., Gupta, H.V., and Sorooshian, S. (1995)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ing of th$\varepsilon$ rainfall-runoff proces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1, No. 10, pp. 2517-2530 https://doi.org/10.1029/95WR01955
  12. Maier, H.R. and Dandy G.C. (2000) Neural networks for the prediction and forecasting of water resources variables: a review of modelling issues and applications,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Vol. 15, pp. 101-124 https://doi.org/10.1016/S1364-8152(99)00007-9
  13. Sajikumar, N. and Thandaveswara, B.S. (1999) A non-linear rainfall-runoff model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Journal of Hydrology, Vol. 216, pp. 32-55 https://doi.org/10.1016/S0022-1694(98)00273-X
  14. World Meteorological Organistaion (1975) Inter-comparison of conceptual mod$\varepsilon$Is used in operational hydrological forecasting, World Meteorological Organisation, Techinical report No 429, Geneva, Switzer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