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통혼잡을 고려한 서울 도심부 개발가능밀도 추정

Estimating Development Density Constrained by Traffic Congestion in the Downtown, Seoul

  • 황기연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도시공학과) ;
  • 신상영 (서울시청개발연구원 디지털 도시부) ;
  • 강준모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도시공학과)
  • 투고 : 2005.11.08
  • 심사 : 2005.12.01
  • 발행 : 2006.01.31

초록

본 연구는 도시개발밀도와 교통시설용량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통성과(transportation performance)를 극대화하기 위한 토지이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도심을 사례분석지역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개발밀도 시나리오에 따라 교통용량의 한계를 감안한 개발용량을 산정하였다. 개발밀도 변화에 따른 교통영향분석을 위한 분석모형으로 SECOMM모형이 제시되었고, 이를 활용하여 20개의 다양한 개발밀도 대안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고밀개발시교통 관점에서 볼 때 분석상 교통적으로 가장 지속가능성이 높은 수준은 도심혼잡통행료를 징수하고 용적률을 460% 까지 개발했을 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심용적률이 460%를 상회해도 서울시 전체적인 교통상황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통행료 수준을 높임으로써 지속가능한 교통여건을 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도심에서 혼잡통행료를 부과하지 않는다면 도심에서 최대 용적률 430%까지 밖에 고밀화를 진행할 수 없고 이때 서울시 전체적으로 개선폭도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도심고밀화를 위해서는 교통수요관리시책(TDM)과 병행하는 것이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ransportation-sensitive land use densities in a metropolitan context. It analyses traffic impacts according to 20 different development density scenarios in the downtown Seoul, and estimates the density ceiling. The results identify that the transportation-wise sustainable density in the downtown can be extended up to the FAR level of 460% with an option of 2,000 won congestion charge levied on the downtown area. It also finds that the region-wide sustainability measured by congestion level can be improving as the level of congestion charge increases. Without the congestion charge, however, the density ceiling slides down to 430%. It is recommended that, in order to bring in higher density developments in the region,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TDM) measures are indispensible.

키워드

참고문헌

  1. 교통개발연구원(2004) 도시고밀개발에 대응한 교통체계 구축방안
  2. 국토연구원(2002) 에너지 효율적 도시형태에 관한 연구
  3. 김성희 . 이창무 . 안건혁(2001) 대중교통으로의 보행거리가 통행 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Vol. 36, No.7, pp. 297-307
  4. 서울경찰청(2002) 서울시 교통량 조사자료
  5. 서울경찰청(2003) 서울시 교통량 조사자료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A) 서울시 교통센서스
  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B) 서울시 장래교통수요 예측 및 정책방향, 정책토론회자료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C) 서울특별시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심부 발전계획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D) 청계천복원에 따른 도시구조 및 형태 변화 모니터링 연구 1차 중간보고서
  10.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청계천복원에 따른 도시구조 및 형태변화 모니터링 연구 2차 중간보고서
  11.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교통시설용량을 고려한 개발밀도 관리 방안연구중간보고서
  12. 서울특별시(2002) 서울시 정기속도조사 자료
  13. 서울특별시(2003A) 서울시 정기속도조사 자료
  14. 서울특별시 (2003B) 남산 1,3,호 터널 혼잡통행료 모니터링 결과
  15. 서울특별시(2004)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
  16. 신상영(2004) 토지이용과 자동차 의존성간의 관계, 서울도시연구, Vol. 5, No.1, pp. 71-93
  17. 안건혁(1998)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적정 도시개발밀도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27
  18. 이재영 . 김형철(2002) 컴팩트도시의 에너지 효율성 및 대중교통접근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Vol. 37, No.7, pp. 241-254
  19. 전병진(1997) 토지이용패턴과 통행수단선택간의 관계,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Vol. 15, No.3, pp. 39-49
  20. 최동호(1998) 가로망 용량을 고려한 도시개발밑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1. 최막중 . 김진유 (1999) 기반시설 제약조건하에서의 도시개발용량과 토지이용밀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Vol. 34, No.3, pp. 61-72
  22. 황기연 . 김익기 . 엄진기 (1999) 교통수요관리방안의 단기효과분석모형의 구축.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Vol. 17, No 1, pp. 173-185
  23. Bae, C. (1993) Air Quality and Travel Behavior: Untying the Kno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59, pp. 65-74 https://doi.org/10.1080/01944369308975845
  24. Bae, C. (2002) Orenco station, portland, oregon: A successful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experiment? Transportation Quarterly, Vol. 56, No.3, pp. 9-18
  25. Barrett, G. (1996) 'The Transport Dimension', in Jenks, M., Burton, E., Williams, K. (eds.) The Compact City: A Sustainable Urban Form? E&FN Spon Publishers, London and New York, pp.171-180
  26. Boarnet, M. & Sarmiento, S. (1998) Can Land Use Policy Really Affect Travel Behavior? A Study of the Link between Nonwork Travel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Urban Studies, Vol. 35, pp. 1155-1169 https://doi.org/10.1080/0042098984538
  27. Bohl, C. (2000) New Urbanism and the city: Potential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for Distressed Inner-city Neighborhoods, Housing Policy Debate, Vol. 11, pp. 761-801 https://doi.org/10.1080/10511482.2000.9521387
  28. Breheny, M. (1997) Urban compaction: Feasible and acceptable? Cities, Vol. 14, No.4, pp. 209-217 https://doi.org/10.1016/S0264-2751(97)00005-X
  29. Breheny, M. and R. Rookwood (1993) 'Planning the Sustainable City Region', Edited by Blowers, A. et al., Planning for a Sustainable Environment, Earthscan Publications, London
  30. Burchell, R., et al. (1998) The Costs of Sprawl-Revisited, TCRP Report 39,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31. Calthorpe, P. (1993)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32. Calthorpe Associates, et al. (2002) Wasatch Front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Guidelines
  33. Cambridge Systematics, Inc. (1994) The Effects of Land Use and Travel Demand Management Strategies on Commuting Behavior, Final Report. Cambridge, MA: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34. Cervero, R. et al. (2004)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Experiences, Challenges, and Prospect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TCRP. 102
  35. Cervera, R. & Kockelman, K. (1997)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D, Vol. 2, pp. 199-219 https://doi.org/10.1016/S1361-9209(97)00009-6
  36. Congress for the New Urbanism, Inner-city Task Force (1999) Rebuilding communities: HOPE VI and new urbanism, Places, Vol. 12, No.3, pp. 72-75
  37. Conroy, M. and Berke, P. (2004) What makes a good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An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princi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36, pp. 1381-1396 https://doi.org/10.1068/a367
  38. Zhang, M. (2004) The role of land use in travel mode choice: Evidence from Boston and Hong Ko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70, No.3, pp. 344-360 https://doi.org/10.1080/01944360408976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