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Improving Sustainability -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Unit Plan Design Elements of High-rise Apartment -

지속가능한 실내환경디자인 요소의 체계적 분류 - 초고층 아파트 단위 주공간의 디자인요소를 중심으로 -

  • 이은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박영기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A sustainable building must produce an interior environment that is safe, healthy, comfortable and supportive of human performance and well-being. The medical human comfort: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cost of unhealthy environment may cause much cost for healing. Research that buildings with daylight, fresh air, eco-materials and sustainable interior design are consistently rated as more comfortable and occupants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health.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ystematically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for improving sustainability with a view to developing an evaluation model of super high-rise apartment unit plans. With a literature survey and design guide lines concerning sustainable design elements, three hierarchical categorization levels of human, environment, energy and resources systems that consists of upper, middle, low design elements have been proposed. A total of 6 items have been suggested for middle level of categorization and 24 items for lower level. Finally a total of 107 design elements concerning the 24 items and their relationahips have been revealed. The needs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for sustainability have been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김자경, 자연과 함께하는 건축, 시공사, 2004
  2. 연세대학교 밀레니엄 환경디자인연구소, 친환경 공간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3. 이경회, 건축계획방법, 문운당, 2004
  4. 이연숙, 친환경 공간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 2003
  5. 이연숙, 삶의 질과 환경디자인: 개인 . 가족 . 사회를 위한 환경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9
  6. 권오진, 아파트 단위주거의 환경친화적 계획요소에 관한 실무자 의식 조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7. 남지연, 공동주택 친환경성능평가의 전산화 및 활용방안,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4
  8. 박원규,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계획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99
  9. 박철수 외, 초고층 아파트의 의학적 병리현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통권79호, 1993
  10. 유수훈, 지역특성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공동주택의 영향인자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03
  11. 이승민 외,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평가항목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6.2
  12. 이승준, 우리나라 아파트에 나타난 환경친화적 계획개념의 적용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13. 이옥화, 건강한 주거공간의 환경친화적 실내디자인요소 적용방안, 연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14. 임미경, 공동주택의 환경 친화적 리모델링 게획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0
  15. 정유선 외, 친화경주거의 계획 및 기술요소 적용특성에 대한 한일 사례비교,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4
  16. 하미경 외, 웰빙 트랜드에 따른 아파트의 건강 관련 실내 디자인 요소 에 관한 연구, 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5.6
  17. 김상호 외, 그린타운개발사업, 한국건설기술연구소, 2000
  18. 공동주택단지의 디자인 매뉴얼,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2000
  19. S 공사 친환경 주거단지 디자인 매뉴얼, 한국생태환경학회, 2005
  20. G 건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매뉴얼, 한국생태환경학회, 2005
  21. Broadbent, G., Design in Architecture, John Wiley and Sons, 1973
  22. Grazyna Pilatowicz 저, 양세양.오찬옥 역, 에코인테리어, 2002
  23. The HOK Guidebook to Sustainable Design, Sandra F. Mendler, AIA, William Odell, AIA
  24. http://www.hoksustainabledesign.com
  25. http://www.iaenv.kict.re.kr
  26. http://www.msdg.umn.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