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gnosis of Enteropathogens in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One Year Prospective Study in a Single Hospital

소아의 급성 위장관염의 원인균 진단: 단일 병원에서 1년간의 전향적 연구

  • Chang, Ju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oramae Hospital) ;
  • Choi, Ji Eun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oramae Hospital) ;
  • Shin, Su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oramae Hospital) ;
  • Yoon, Jong Hyu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oramae Hospital)
  • 장주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보라매병원 소아과) ;
  • 최지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보라매병원 소아과) ;
  • 신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보라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 윤종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보라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Received : 2006.01.04
  • Accepted : 2006.02.23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Purpose: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is one of the frequently encountered diseases with relatively high admission rat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solation trends of common and emerging pathogens in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over a 12-month period in a community hospital. Methods: The study group included the children who were hospitaliz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Boramae Hospital from April, 2003 to March, 2004 or visited outpatient clinic from April, 2003 to July, 2003 with presenting features of acute gastroenteritis. Stool specimens were obtained within 2 days after the visit and examined for the following pathogens: rotavirus, adenovirus, Salmonella, Shigella, Vibrio, pathogenic Escherichia coli (E.coli), Campylobacter and Yersinia species. Viral study was done with commercial kits for antigen detection. Identification of the bacterial pathogens was done by culture using selective media. For pathogenic E.coli,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done with the target genes related to the pathogenecity of enterotoxigenic E.coli (ETEC), enteropathogenic E.coli (EPEC) and enterohemorrhagic E.coli (EHEC). Results: The 130 hospitalized children and 28 out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ajority of children (>93%) were less than 6 years. Pathogens were isolated in 47% of inpatients and 43% of outpatients, respectively. Rotavirus was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pathogen, accounting for 42.3% of inpatients and 29.6% of outpatients. Nontyphoidal salmonella is the most commonly isolated bacterial pathogen (3.9%) in hospitalized children. Pathogenic E.coli (EPEC, ETEC) was detected in 2.1% (2/97) of inpatients and 25% (3/12) of outpatients. EHEC, adenovirus, Campylobacter, Yersinia and Shigella species were not detected in this study. Conclusion: Rotavirus is the most common enteropathogen in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Nontyphoidal salmonella and pathogenic E.coli are important bacterial pathogens. Campylobacter species may not be commonly detected organism in hospitalized children with acute diarrhea.

목 적: 소아의 급성 위장관염은 매우 흔하고 입원율이 높은 중요한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사회에서 소아의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바이러스 및 세균을 대상으로 1년간 발생 경향에 대한 최근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소아과에 3일 이내의 급성 설사를 주소로 내원한 15세 미만의 소아를 대상으로 임상 검사 및 대변 검사를 시행하였다. 입원 소아는 2003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1년간, 외래 소아는 2003년 4월부터 7월까지 단일 외래를 방문한 환아들에 국한하여 연구하였다. 방문 2일 이내에 대변 검체를 얻었으며 바이러스성 원인균 검사로는 로타바이러스, 장 아데노바이러스 항원 검출법을, 세균성 원인균 검사로는 Salmonella, Shigella, Vibrio, Campylobacter 균종 및 Yersinia enterocolitica 대해 배양검사를 시행하였고 병원성 E.coli (ETEC, EHEC, EPEC) 검출을 위해서는 PCR 법을 이용하였다. 입원 환아들은 전해질 검사를 포함한 혈액 검사를 같이 시행받았다. 결 과: 전체 입원 환아는 130명, 외래 환아는 28명이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6세 미만의 환아가 각각 94.6% (123명), 92.8% (26명)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모두 단일 원인균이 분리되었으며 그 중 로타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입원 환아의 42.3% (55명)에서, 외래 환아의 29.6% (8명)에서 검출되었다. 대변 배양 검사에서는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균이 입원 환아의 3.9% (4명), 외래 환아의 3.6% (1명)에서 배양되었다. 병원성 대장균은 입원 환아의 2.1% (2명/97명), 외래 환아의 25.0% (3명/12명)에서 분리되었으며 EPEC (4명), ETEC (1명) 순이었고 EHEC는 분리되지 않았다. 이외에 장 아데노바이러스와 Campylobacter, Yersinia, Shigella 균종은 한 예도 없었다. 결 론: 로타바이러스는 국내 지역 사회 병원에서 소아기 위장관염으로 입원하게 되는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세균성 장염의 원인균으로는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와 병원성 대장균, 특히 EPEC와 ETEC가 중요하다. Campylobacter 균종은 급성 설사로 입원하게 되는 환아에서는 흔하게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지나 외래 환아를 다수 포함한 대단위의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