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ter Allocation by Estimation of Damage Function in a Water-Deficit Situation

피해함수 산정을 통한 물 부족 상황에서의 용수배분 방안

  • 이충성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 박교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 최승안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 심명필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Published : 2006.05.01

Abstract

Recently, water conflicts are rapidly increasing and more serious. So, it needs to establish the reasonable water allocation rules and criteria. This study aims at performing inter-sectoral water allocation with a focus on economic effciency and social utility. To allocate water among the sectoral water uses, water shortage damage functions were estimated and then converged to the utility functions. Finally, each sectoral water uses are allocated by applying 'law equimarginal utility' to maximize social utility. Also weighting factor which reflects scale and characteristic of water demand in a region was estimated to perform the inter-regional water allocation. The water allocation rule was applied to the future water-deficit situation in Han-river basin. As a result, domestic water use was allocated more sufficient agricultural and industrial water use. Also, the water shortage occurs severely in the rural area like Gangwon-do because of its low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suggests a alternative view of the economic water allocation which have difficulty under water supply mechanism in Korea.

최근 들어, 물 분쟁은 발생횟수 뿐만 아니라 그 심각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합리적인 용수배분 방안과 설득력 있는 기본원칙 수립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효용을 중시한 용도간 용수배분을 실시하는 것이다. 용도간 배분을 위해서는 물 부족에 따른 피해함수를 산정한 후, 이를 효용함수로 전환하였으며 '한계효용균등의 법칙'을 적용하여 사회적 효용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역의 용수수요 규모 및 특성을 반영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지역간 용수배분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용수배분방법을 한강권역의 미래 물 부족상황에 적용한 결과, 생활용수의 배분량이 농업 및 공업용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산정되었다. 지역별로는 상대적으로 낮은 도시화, 공업화가 진행된 강원도 지역이 물 부족량의 상당부분을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의 용수공급 체계상 어려움이 있는 경제학적 용수배분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제공한 것이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맹규 (1990).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론. 화중당
  2. 건설교통부 (2000a) 수리권 거래제도 도입방안 연구
  3. 건설교통부 (2000b).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 김종원 (2002) 합리적 수자원 배분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연2002-2, 국토연구원
  5. 농림부 (1999). 농촌용수 수요량조사 종합보고서
  6. 농촌진흥청 (1999). 주요 농작물 기상재해 경감기술: '98 작황분석 및 기상재해 유형별 경감대책 중심
  7. 이충성, 최승안, 심명필, 정관수 (2004). '가중치산정을 통한 다목적댐 용수의 배분 방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8호, pp 663-674
  8. 이현재 (2003). 가뭄시 용수배분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pp. 63-81
  9. 통계청 (1999). 1998년 산업총조사보고서
  10. 한국수자원공사 (2002). 기존댐 합리적 용수배분을 통한 수리권 조정방안 연구
  11. 한동근, 김종원 (2000). '유수자원(流水資源)의 지역간 배분보상.' 자원 . 환경경제연구, 한국환경경제학회, 제9 권, 제4호, pp. 621-639
  12. Bennett, L.L., Howe, C.W., and Shope, J. (2000). 'The Interstate River Compact as a Water Allocation Mechanism: Effciency Aspect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AAEA, Vol. 82, No. 4, pp. 1006-1015 https://doi.org/10.1111/0002-9092.00098
  13. Karkkainen, T. (2001). Pricing Irrigation Water(With a focus on developing countary). Research Report 2001,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14. MAF (2001). Economic Efficiency qf Water Allocation. MAF Technical Paper No:2001/7,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New Zealand
  15. Ringler, C. (2001). Optimal Allocation and Use of Water Resources in the Mekong River Basin: Multi-Country and Intersectoral Analyses. Peter Lang., Germany, pp. 5-14
  16. Rosegrant, M.W., Ringler, C., McKinney, D.C., Cai, X., Keller, A., and Donoso. G. (2000). 'Integrated Economic-Hydrologic Water Modeling at the Basin Scale: The Maipo River Basin.' Agricultural Economics, IAAE, Vol. 24, No. 1, pp. 33-46
  17. World Bank (1998). Water Allocation Mechanisms Principles and Examples. Washington, D.C
  18. World Bank (1999). Inter Sectoral Water Alloc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Washington, D.C
  19. Yi, C.S., Choi, S.A., Shim, M.P., Kim, H.S., and Kim, B.S. (2005). 'Water Allocation by Weighting Factors Considering Multiple Criteria.'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Water Supply, IWA, Vol. 5, No. 3-4, pp, 105-114

Cited by

  1. Estimation of Domestic Water Supply Benefit Using Demand Function Approach vol.32, pp.4B, 2012, https://doi.org/10.12652/Ksce.2012.32.4B.233
  2. Building Damage Functions Using Limited Available Data for Volcanic Ash Loss Estimation vol.34, pp.6, 2013, https://doi.org/10.5467/JKESS.2013.34.6.524
  3. Development Plan of Facility Importance, Risk, and Damage Estimation Inventory Construction for Assisting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vol.19, pp.1, 2016, https://doi.org/10.11108/kagis.2016.19.1.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