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the Inundation and Process of Making a Flood Map According to the Levee Break Conditions in Urban Stream - Jungrang Experimental Basin -

제방붕괴조건에 따른 도시하천의 홍수범람 특성 및 홍수지도 작성 - 중랑천 시험유역을 중심으로 -

  • 이종태 (경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허성철 (경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김정회 ((주)유신코퍼레이션 수자원부) ;
  • 한건연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6.05.01

Abstract

This study is for the inundation damage analysis caused by levee break, and for the applicability of GIS tool to make inundation map in the Jungrang stream basin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urbanized area in Korea. The FLDWAV was applied to the actual flood in 1998 to calibrate the parameters, and was used under the flood conditions of 100, 200 years and PMF for the analysis of inundation caused by the levee breach. As the conditions of the levee break, the duration of break(10, 30, 60 min), the width of break(10, 20, 30m) and the location of the break are considered. We found out that the range and the volume of the inundation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location of the levee break, the break width in order. And, we compared the two processes of making the inundation map using WMS and ArcView model. The Process 1 which use only WMS has the benefit by its simplicity but there could be considerable errors in making the inundation map, while Process 2 where the ArcView model is introduced to WMS has the capability of making detailed topography map but needs more process tim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levee breach flood analysis and making flood map to establish the EAP(Emergency Action Plan) in the urban basin.

도시하천유역에서 집중호우에 따른 제방 범람과 이에 따른 침수 피해규모를 해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 도시하천인 중랑천의 홍수 및 제방붕괴 특성을 시 공간적으로 다양한 조건에서 연구하였으며 실용적인 GIS 기법의 적용방법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98년 실제 홍수상황에 대하여 적용분석하였으며, 100년, 200년, PMP의 빈도별 강우 조건에서 홍수량을 각각 산정하였다. 또한, 제방붕괴 조건별 하천의 부정류 해석 및 제내지의 홍수범람해석을 실시하였다. 제방붕괴의 조건으로서 붕괴시간(10, 30, 60분), 붕괴폭(10, 20, 30m) 및 제방붕괴위치(중상류부, 중류부, 중하류부) 등에 따른 홍수위, 월류량 및 제내지 침수 수위 변화 등을 검토한 결과, 제방붕괴의 위치 및 붕괴폭이 홍수범람규모와 침수피해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FLDWAV에 의한 산정결과를 이용한 홍수범람지도 작성과정에서 WS와 ArcView 모형의 두 모형을 적용하는 과정을 비교하였다 WMS 모형은 비교적 간략한 절차를 통하여 작성할 수 있었으나 지형자료의 부정확성으로 말미암아 침수면적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ArcView모형은 보다 정밀한 범람도를 형성하여 도시유역 등의 적용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나 WMS 모형을 통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여 처리시간이 보다 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절차는 도시하천유역의 EAP(Emergency Action Plan, 비상대처계획)수립을 위한 실용적 수문 수리 및 GIS 분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해, 한건연, 서규우 (2003). '하천 홍수범람모의를 위한 불확실도 해석기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6권 제3호, 한국수자원학회, pp. 661-671
  2. 박홍균, 이상일 (2001). '홍수위험지도 : 개발절차와 시나리오.' 2001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4
  3. 배덕효, 이종태, 김형섭 (2004). 시험유역의 선정 및 계측망의 구축, 기술보고서, FFC03-05,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
  4. 서울특별시 (2000). 중랑천 하천정비 기본계획
  5. 서울특별시 (2004). 대학과 연계한 하천관리에 대한 연구
  6. 신현석, 전성우 (2000). 'HEC-HMS, HEC-RAS와 ArcView를 이용한 홍수범람지역 설정에 관한 연구.' 2000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III), 대한토목학회, pp. 221-224
  7. 안상진, 함창학, 김종섭, 김기석 (2001) 'GIS를 이용한 홍수범람 지역 분석.' 2001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8. 이종태, 이상태 (2001a). '하천제방 붕괴양상의 설험적 연구(I) : 단변의 기하학적 특성치의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4권 제2호, 한국수자원학회, pp. 141-154
  9. 이종태, 이상태 (2001b). '하천제방 붕괴양상의 실험적 연구(II) : 축조재료 및 다짐도의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4권 제2호, 한국수자원학회, pp. 155-167
  10. 이종태, 한건연 (1989). '하천제방의 붕괴로 인한 제내지의 침수예측모형.' 한국수문학회지, 제22권 제2호, 한국수문학회, pp. 223-231
  11. 이종태, 한건연, 윤세의, 박재홍 (1995).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파 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28권 제5호, 한국수자원학회, pp. 163-174
  12. 이주헌, 최종진, 이희철, 이은태 (2003). '고해상도 수치 고도모형을 활용한 홍수범람도의 작성.' 대학토목학회 논문집, 제23권 제68호, 대한토목학회, pp. 471-478
  13. 이홍래, 한건연, 김상호, 최현상 (1998) '하천 홍수범람 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의 개발( I ).'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1권 제4호, 한국수자원학회, pp. 415-427
  14. 조선일보 (1998). '중랑천에 '양쯔강식 수방효과.' 8월 10일, p. 20
  15. 중앙일보 (1998a). '주민 1만여명 대피 중랑천주변.' 8월 7일, p. 13
  16. 중앙일보 (1998b). '[집중호우]악몽의 중랑 . 안양 . 안성 천변 저지대주민들.' 8월 10일, p. 13
  17. 한건연, 정재학, 이을래 (2000). '홍수터에서의 범람 홍 수류에 의한 2차원 수치모의.',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3권 제4호, 한국수자원학회, pp. 483 -493
  18. Fread, D.L., Lewis, J.M. (1998). NWS FLDWAV MODEL. National Weather Service

Cited by

  1. A Study of Make Inundation Map Using Satellite Photograph at Urban River vol.20, pp.2, 2011, https://doi.org/10.5322/JES.2011.20.2.199
  2. Flood risk estimation with scenario-based, coupled river-overland hydrodynamic modeling vol.49, pp.09, 2016, https://doi.org/10.3741/JKWRA.2016.49.9.773
  3. Development of probability wind speed map based on frequency analysis vol.24, pp.5, 2016, https://doi.org/10.1007/s41324-016-00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