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Reformative Costume of Gustav Klimt

구스타브 클림트[Gustav Klimt]의 개혁의상에 관한 연구

  • Kim Sun-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5.01

Abstract

This paper is a perspectiveon the reformative costume expressed by Gustav Klimt who led the Secession Movement as a great master in Vienna. Klimt actively expressed a new costume style in his paintings, which influenced heavily on the modern costume design. This paper may contribute to reestablish the constructive direction for the 21st century fashion design based on Klimt's pursuing holistic art concept. The reformative costume in Klimt's paintings has two characteristics; ornamentism, eroticism, and reformativeness. Ornamentism is expressed with fantastic colors, various motives, exotic features, simple style clothes, and so on. Klimt used independent ornaments to express carnal desires metaphorically, which set ornaments free to lead spectators to the dreamy or elusive state and even have spectators indulged in ecstasy. As the Secession Movement focused on reforming all areas of life artistically, the costumes of Klimt's paintings symbolically express the reformativeness; he portrayed the woma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sought to reform its contemporary value as a visual sensuality. Klimt tried to disrupt from the former era by over-emphasizing eroticism. The erotic expression with the colors and the style of ornaments substitute naturally for suggestive eroticism of the feminine body. With has creativity, Klimt has spectators extract the various senses from the female image in his paintings. Klimt's creative spirit on the holistic art concept could be helpful to develop a unique design as a catalyst foreseeing over the present.

Keywords

References

  1. 이주헌 (2001) . 클립트 서울: 재원. p. 22
  2. Werkner Patrick (1993). Austrian expressionism: the formative years. California: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 scholaship. pp. 29-31
  3. 양숙희 (1994). 유럽 상징주의 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 22, p. 283
  4. 양숙희 (1994). 유럽 상징주의 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 22, p. 285
  5. 이주헌 (1997). 내마음속의 그림. 서울: 학고재. p. 239
  6. 신성림 (2002). 클림트 서올: 다빈치, p. 200
  7. 이주헌 (1997). 내마음속의 그림. 서울: 학고재. p. 92
  8. Jane Kallier (1986). Viennes design and the wiener werkstaette. N.Y: Galerie St. Etienne. p. 29
  9. Rosemary Lambert. 김창규 역 (1991) . 20세기의 미술 서울: 예경산업사. p. 24
  10. 임영자, 최옥수 (2004). 빈공방 직물디자인의 예술적 특성 연구. 복식, 54(7) , p. 123
  11. 양취경 (1996). 비인공방에 형성된 예술의상연구, 복식, 29, p. 149
  12. 신성림 (2002). 클림트 서올: 다빈치, p. 100
  13. 홍기 현. 앞의 책, p. 43
  14. Erika Thiel. 양숙희 역 (1997). 복식과 예술. 서울:교학연구사, p. 92
  15. 홍기현, 앞의 책, p. 40
  16. 양취경 (1996). 비인공방에 형성된 예술의상연구, 복식, 29, p. 146
  17. 홍기현. 앞의 책, p. 43
  18. 위의책. p.47
  19. 양취경 (1996). 비인공방에 형성된 예술의상연구, 복식, 29, p. 149
  20. Ingrid Loschek, 이재원 역 (2002). 여성들은 다시 가슴을 높이기 시작했다. 서울:한길아트, p. 59
  21. 양취경 (1996). 비인공방에 형성된 예술의상연구, 복식, 29, p. 151
  22. Hanse Traude (1984). Witmer werkstaette Mode. Brandstaetter, p. 189
  23. Lesley Jackson (2002). Twentieth-century pattern design. NY: Priceton Architectural press, p. 40
  24. Bruno Remary (1994). Dietionnaii'e de la Mode au $XX^e$ siecle. Paris: Editions du Regard. p. 569
  25. 임영자, 최옥수 (2004). 빈공방 직물디자인의 예술적 특성 연구. 복식, 54(7) , p. 123
  26. 양취경 (1996). 비인공방에 형성된 예술의상연구, 복식, 29, p. 152
  27. 홍기현, 앞의 책, p. 45
  28. 김영현, 양취경 (2005)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55(1), p. 8
  29. 서영희 (2001). 구스타브 클립트의 작품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에 의한 창작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7
  30. 김재숙, 윤지현 (2005). 에로티시즘의 표현방법과 표현수준에 따른 복식의 이미지 지각, 한국의류학회지, 29(2). p. 121
  31. 한은정 (2001), 구스타브 클림트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3
  32. 김영나 (1996), 서양 현대미술의 기원, 서울: 시공사, p. 110
  33. 김영나 (1996), 서양 현대미술의 기원, 서울: 시공사, p. 112
  34. 신성림 (2002). 클림트 서올: 다빈치, p. 193-195
  35. 한은정 (2001), 구스타브 클림트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2
  36. Christian Barndstatter (2003). Klimt & La Mode. Paris: Assouline, p. 76
  37. 신성림 (2002). 클림트 서올: 다빈치, p. 136
  38. 양숙희 (1994). 유럽 상징주의 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 22, p. 290
  39. 신인수, 임상임, 김경희, 이진희 (2003), 현대패션의 이해, 서울: 교학연구사. p. 22
  40. 김민자, 최현숙, 이현주 (2001) 서양신발의 사적 고찰과 미적가치, 복식, 51 (5), p. 165
  41. 서영희 (2001). 구스타브 클립트의 작품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에 의한 창작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3
  42. 신성림 (2002). 클림트 서올: 다빈치, p. 122
  43. 양숙희 (1994). 유럽 상징주의 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 22, p. 292
  44. 이주헌 (1997). 내마음속의 그림. 서울: 학고재. p. 76
  45. 신성림 (2002). 클림트 서올: 다빈치, p. 139
  46. 신성림 (2002). 클림트 서올: 다빈치, p. 145
  47. Christian Barndstatter (2003). Klimt & La Mode. Paris: Assouline, p. 77
  48. 양숙희 (1994). 유럽 상징주의 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 22, p. 288
  49. 김영나 (1996), 서양 현대미술의 기원, 서울: 시공사, p. 110-111
  50. 홍기현, 앞의 책, p. 43
  51. 신성림 (2002). 클림트 서올: 다빈치, p. 34
  52. 이주헌 (1997). 내마음속의 그림, 서울: 학고재. p. 68
  53. Christian Barndstatter (2003). Klimt & La Mode. Paris: Assouline, p. 77
  54. 임영자, 최옥수 (2004). 빈공방 직물디자인의 예술적 특성 연구. 복식, 54(7) , p. 131
  55. Christian Barndstatter (2003). Klimt & La Mode. Paris: Assouline, p. 79
  56. 신성림 (2002). 클림트 서올: 다빈치, p. 150
  57. 이주헌 (1997). 내마음속의 그림, 서울: 학고재. p.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