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기기에서의 DRM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f DRM Application for the Portable Digital Audio Device

  • 조남규 (경기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 이동휘 (경기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 이동춘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 김귀남 (경기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 박상민 (인천대학교 산업경영학과)
  • 발행 : 2006.12.20

초록

인터넷의 보급과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콘텐츠는 속성상 아날로그 콘텐츠와 달리 쉽고, 빠르게 복사할 수 있으며 복제품은 원본에 비해 질적인 저하가 없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들의 무료 선호 인식과 더불어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비정상적인 유통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은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불법 복제 및 불법 유통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인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은 기존의 PC 환경에서 이루어지던 콘텐츠 활용기술이 휴대용 기기에 기술의 성장으로 휴대용 기기에서의 DRM 적용이 요구되어 왔다. 많은 등의 많은 표준화 기구와 많은 DRM 서비스 회사들에 의해서 여러 가지 서비스모델이 제안되어 왔으며 기존의 PC 환경과 달리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기기는 프로세스/네트워크 제약으로 기존의 PC DRM의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우며 DRM 적용을 위해 고사양의 H/W사양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많은 디지털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 사용되는 저성능 기기에 적용이 적합하도록 DRM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기기의 내부 메모리 구조 타 DRM 서비스의 호환성을 위해 서비스 변환 서버인 DFCS를 제안하여 저성능 프로세스를 사용한 디지털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보안성 및 편의성을 증가시켰다.

With the introduction of sound source sharing over the high speed internet and portable digital audio, the digitalization of sound source has been rapidly expanded and the sales and distribution of sound sources of the former offline markets are stagnant. Also, the problem of infringement of copyright is being issued seriously through illegal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igitalized sound source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DRM technology for protecting contents and copyrights in portable digital audio device began to be introduced. However, since the existing DRM was designed based on the fast processing CPU and network environment, there were many problems in directly applying to the devices with small screen resolution, low processing speed and network function such as digital portable audio devices which the contents are downloadable through the PC. In this study, the DRM structural model which maintains similar security level as PC environment in the limited hardware conditions such as portable digital audio devices is proposed and analyzed. The proposed model chose portable digital audio exclusive device as a target platform which showed much better result in the aspect of security and usability compared to the DRM structure of exiting portable digital audio devi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