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stimation of Soil Conversion Factor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3D Laser Scanner

디지털사진측량 및 3D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한 토랑환산계수의 산정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is operating for the soil and rock information system and is considered to accurate application of soil conversion factor that is essentially necessary for accurate calculation of earth volume. Since the balance of cutting earth in public work, the plan of spoil bank or borrow pit are directly related to construction costs, accurate calculation of earth volume and efficient scheme of haul are important. As such, this study has provided methods that can acquire information that is more rapid, applicable to job sites, and trustworthy by comparing resultant values of photogrammetry, laser scanning, or inside job site experimentations, and calculated soil conversion factor by applying photogrammetry and laser scanning methods for hard rock that has difficulty in calculating soil conversion factor. The study can provide alternatives that can resolve the problems of unbalanced earth volume that may arise in applying to plans the earth conversion factor that relies on planning books and experience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job site earth, and can establish its relevancy by calculating soil conversion factor for hard rock that has relative difficulties in doing inside or job site testing.

건설교통부에서는 예산절감을 위해 토석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시스템 운영에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원지반의 토량을 기준으로 산정되는 토량 변화율인 토량환산계수의 정확한 적용이다. 토공사의 절성토량의 균형, 사토장 및 토취장의 계획은 공사비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토공량 산정 및 효율적인 토공유동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비합리적인 토량환산계수의 적용으로 토공유동이 효과적이지 못한 점이 있으며, 정확한 공사비 산정 및 투입에도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효율적인 토공유동계획은 토공량 산정의 정확도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정확한 토량환산계수의 적용이 토공량 산정에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토공사가 실시되는 현장을 대상으로 대상지 내의 임의지점 절 성토부를 굴착하고 굴착 전후 및 다짐후의 체적을 사진측량기법 및 레이저스캐닝기법으로 정밀한 수치표고모형을 제작하여 토량환산계수를 산정하고, 동시에 절 성토부 건조밀도시험을 통해 산정되는 토량변화율의 결과값과 비교 분석하여 신뢰성 있는 토량환산계수의 산정방법을 결정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수, 서동주, 이종출 (2004),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한 토량환산계수 산정,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2권 제4 호, pp. 339-347
  2. 유복모, 유용택, 이현직 (1990), 사진측량을 이용한 토공량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8권 제l호, pp. 41-50
  3. 이종출, 김희규, 김대현 (2003), 수치사진측량을 이용한 토공량 산정 적용,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211-214
  4. 임창규, 정진호, 이병길 (2003), 대규모 현장 실힘을 통한 토량환산계수 산정 연구,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3706-3710
  5. 정성혁, 임인섭, 함창학, 최석근 (2002), 수지사진측량기법에 의한 레이저 스캐닝 정확도 검증,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 토목학회, pp. 81-84
  6. Huang, Y. (1997), Industrial Monitoring with Digital Photogrammetry, Trans Tasman Surveyor, pp. 32.1-32.8
  7. Sanchez, F. M. (1999), Laser Application in Industrial Close-range Photogrammetry,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al Engineering, Vol.- No.3835
  8. Schenk, T. (2000), Object Recognition in Digital Photogrammetry, The Photogrammetric record, Vol.- No.95
  9. Zicarelli, P. C. (1997), Industrial Close-Range Photogrammetry: A Dormant Technology Erupts, Chemputers, pp.229-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