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Housewives' Attitudes toward Dietary Life and their Health

주부들의 식생활태도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와 자기건강에 관한 연구

  • Kim, Sun-Hee (Dept. of Food and Nutrition, Chosun University)
  • 김선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e consciousness and eating habits of the housekeeper directly influence the stress level and health quality of the household occupants. In Korea, most housewives are in charge of dietary life. Accordingly, their attitudinal clusters toward dietary (eating) life were researched in relation to their stress and health.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rregular eating habits cause str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housewives to have a regular eating hab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ouse wives' attitudes toward dietary life were categorized into 5 clusters: regular and speedy overeating, regular and frequent eating, regular and light eating, irregular and light eating, irregular and speedy overeating. The cluster of regular and frequent snacks was 24.3%. The cluster of irregular and speedy overeating caused the most stress. Especially the house wives' group belonging to the cluster of irregular and speedy overeating were under social and emotional stress, while the cluster of regular and light eating and the cluster of irregular and light eating were under concentration stress. The cluster of regular and frequent snacks and the cluster of irregular and light eating had negative effect on their health, while the cluster of regular and speedy overeating had negative effect on their family's health by their social stress.

Keywords

References

  1. 고양숙. 1986. 제주지역 주부들의 식생활태도에 관한 연구 -식품기호중심- 제주대학교 논문집 제 22권. pp 185
  2. 국민의 연령층별 식생활 지침의 개발 및 보급. 2002. 1차년도 성인, 노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 권태완, 강세기. 1993. 식품공업의 발달과 우리의 식생활. 식문화학회 추계학술대회(식생활 최근 50년 변화)
  4. 김교헌, 전겸구. 2003. 한국주부의 생활스트레스와 대처양상. 한국심리학회. 8(1). pp 1-39
  5. 김은실. 1995. 강원 지역 농촌 주부들의 전통 식생활 관리 현황에 관한 실태 조사(1) -식생활에 대한 태도와 일반적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조리과학회지 11(4). pp 342-350
  6. 김정현, 이민준, 양일선, 문수재. 1992. 한국식품화학회지 7(1)
  7. 김진향, 김선효. 2005. 일부 벽지 농촌 가정주부의 식생활관리 실태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2). pp 131-143
  8. 류은순, 강현구. 1993. 부산지역 주부들의 식생활태도에 대한 조사연구, 보건과학연구소 제3집. pp 22
  9. 보건복지부. 2003.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 지침. pp 1
  10. 성낙응. 1998. 건강과 식생활. 건강을 위한 식생활 지침. 대한산업보건협회 5. pp 38-41
  11. 신기영, 옥선화. 2000. 중년기 기혼취업여성의 가족역할과 직업역할의 보상/비용에 따른 심리적 복지. 대한가정학회지 38(8). pp 29-51
  12. 안선자, 이정우. 1996. 직업지위가 낮은 취업주부의 가정관리능력. 한국가정학회지 14(2). pp 185-200
  13. 유숙자, 양 수, 윤개연. 2000. 중년여성의 우울 정도와 사회적지지 및 성 역할장애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9(4). pp 619-631
  14. 유연상, 노정미. 1996. 서울지역 주부들의 식생활관리 실태조사연구. 동아시아식 생활학회지 5(3). pp 263
  15. 유영상. 1980. 식생활관리. 대한가정학회지 18(1). pp 52-66
  16. 윤서석. 1984. 한국 식품사 연구. 신광출판사. 서울. pp 8
  17. 윤진숙, 최미자. 2003. 대구지역 주민들의 식행동과 일부 건강 상태 지표와의 관련성 (1) -주부들의 식행동과 비만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1). pp 17-28
  18. 이경숙. 2005. 건강과 장수. 바른식생활은 건강과 장수의 기본. 대한산업공학회 12(3). pp 50-51
  19. 이경자. 1991. 전북지역 주부들의 식생활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6(4). pp 403
  20. 임정빈, 서병숙, 이효지, 장유경. 1990. 라이프 스타일과 식생활. 대한가정학회지 28(3). pp 33-52
  21. 장윤옥, 정서린. 1996. 가정자원 적정도 지각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주부의 가정자원관리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6). pp 353-366
  22. 장윤옥. 1997. 가정자원 통제소재 및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주부의 가정자원관리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pp 287-300
  23. 전은미, 조동숙. 2005. 여성의 스트레스 증상, 암예방 행위와 삶의 질과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1(2). pp 156-162
  24. 정진희, 이정우. 2005. 판매직 주부의 공평성인지도, 역할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2). pp 81-100
  25. 최덕경, 이정우. 1993. 가정관리행동시 주부의 스트레스와 관련변인 연구.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11(2). pp 96-110
  26.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3. 국민의 연령층별 식생활 지침의 개발 및 보급. pp 197
  27. 홍선경. 1997. 중년기 여성의 성 역할 태도와 우울간의 연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8. 홍영상. 1998. 여성 건강추구행위 구축 모형.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9. Berkman LF, Syme SL. 1979. Social network,host resistance and mortality: A none year follow-up study of Alameda country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3. pp 1031-59
  30. Cavte, J Cruel. 1972. poor and brutal nations.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 JL Hafstrom, VR Schram. 1983. Home Econ. Reser. J. 11(3). pp 245 https://doi.org/10.1177/1077727X8301100306
  32. Kim JH, Lee MJ, Moon ssSJ, Shin SC, Kim MK. Ecological. 1993. analysis of food behavior and life style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J. Korean Nutrition Society 26(9). pp 1129-1137
  33. Kim YH, Park HS. 1992. Stressful life events and somatic symptoms of Urban women, J.Korean Aca of Nursing 22(4)
  34. KP Goebel, CB Hennon. 1984. Home Econ. Reser. J. 12(2). pp 169
  35. Oh JJ, Choi SK, Kim TH, Kim ES, Oh JK.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tyles in businessman. J.Korean Acad Fam Med 19(4). pp 394-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