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디자인학연구)
- Volume 19 Issue 5 Serial No. 67
- /
- Pages.293-302
- /
- 2006
- /
- 1226-8046(pISSN)
- /
- 2288-2987(eISSN)
A Study on the Status of Experiential Exhibition Facilities in Exhibition Space - A focus on A Medium of Digital Media -
전시공간에서의 체험형 전시시설 현황 연구 -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Since the late 20C, the development of informative electronic technology has expanded human beings' spatial recognition from three-dimension into multi-dimension. Also space has formed mutual organic relation with the human being, since they started having the image responding ability of experience and recognition. The mutual organic relation has appeared in exhibition space aggressively introduced informative electronic technology from existing physical space. Therefore, m carried out a compartive study into the status of exhibition facilities and the form of interaction focusing on exhibition facilities as a medium of interaction between information and users in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 to which informative electronic technology had been introduced.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tudy was that the phenomena, which had been anticipated from happenings in mutual organic 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space, was reflected on space as a place of various communication activities. Hereafter, researches and studies on further exhibition should be continued to clarify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space and user trends not only through exhibition space but also through the study of user trends that are changing everyday.
20세기 후반부터의 정보전자기술 발달은 인간에게 3차원에서 다차원으로 공간인식의 확장을 가져다 주었고, 공간 또한 인간의 경험, 인지, 체험의 이미지반응능력이 가능해지면서 인간과의 상호유기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호유기적 관계는 현존하고 있는 물리적 공간 중에서 정보 전자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전시공간에서 잘 보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전자기술이 도입된 체험형 전시공간에서 정보와 이용자의 인터랙션 매개체로서의 전시시설을 중심으로 전시시설과 인터랙션 형태의 현황을 비교 조사하였다. 이는 인간과 공간의 상호유기적 관계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현상들을 예측하여 인간과 공간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역할을 위한 장으로서의 공간에 반영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위한 것으로 향후 전시에 대한 조사연구가 전시공간측만 아니라 변화되고 있는 이용자의 행태연구를 통해 전시공간과 이용자행태와의 상호관련성을 밝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