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irection of Child-care Development through the View of Home Economics

가정학적 접근을 통한 보육의 발전 방향 제시

  • Yoon, Sook-Hyeon (Dept. Child-care and Education, Honam Univ.) ;
  • Lee, Mi-Jeong (Dept. of Young Child Care, Education & Welfare, Yeojoo Institute of Technology)
  • Published : 2006.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a direction of child-care development through the basic concepts of home economics which have taken charge of much parts of the studies in child-care in the early years. When the problem of child-care is studied in view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r the basic concepts of home economics, it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 on the basis of human ecological approach, when we study child-care, it needs to emphasiz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cro-environment in connection with home and child-care. The study of child-care hav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environment in connection with children and the macro-environment in connection with home. And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must endeavor to build up the desirable environment of child-care. Secon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household, we mud be concerned abou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young children, and emphasize 'the principle of love and care'. This means that the institution of child-care must be considered as a place which enlarges the merits of home and complements the defects of home through the strengthener of the function of home. Third, on the basis of healthy family, child-care service must support and complement the function of bringing of home in view of 'total healthiness of home'. Child-care service must be offered to be able to be chosen according to the total conditions of family such as the employment of mother, the family life cycle, the life style, the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y.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원(1980). 가정학의 방향. 대한가정학회지, 18(2), 57-68
  2. 김난도(1998). 공공가정론의 철학적 제 문제에 관한 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 47-57
  3. 김명자, 계선자, 박미석, 장진경, 김연화, 한은주, 류진아 (2005). 건강가정지원센터 시범사업 현황 및 활성화 방안-2004년 서울시 용산구.숙명여자대학교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정문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2), 185-197
  4. 김선희(1997). 공공가정의 인력관리 특성과 조직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 149-158
  5. 김호권(2001). 이연섭, 김호권(편). 학령기의 가정교육. 흔들리는 가정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6. 두경자(2003). 소규모 노인공공가정설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2), 187-205
  7. 문수재(1993). 인간생활과 가정학. 가정학의 새로운 접근-인간생활을 중심으로. 서울: 수학사
  8. 문숙재, 송혜림, 김선희, 이기영, 김난도, 김순미, 박미석, 조희금(1999). 공공가정경영. 서울: 학지사
  9. 송혜림(1997). 수행활동을 중심으로 한 공공가정의 개념과 경영원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 135-147
  10. 송혜림, 권혜진, 기은광, 김선우, 김소영, 채화영(2004). 초기 건강가정사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3), 65-93
  11. 송혜림, 김선우(2005). 공공가정경영 하위체계의 이론적 틀고찰과 재구성 -마케팅 관리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2), 93-110
  12. 심준섭(2003). 건강가정육성을 위한 행정지원체계 구축방안. 대한가정학회지, 41(9), 191-208
  13. 양옥승, 김영옥, 김현희, 신화식, 위영희, 이 옥, 이정란, 이차숙, 정미라, 지성애, 홍혜경(1999). 영유아보육개론. 서울: 학지사
  14. 유영주, 강완숙(1996). 가정학의 반성적 고찰: 새로운 패러다임의 구축을 위한 시론 I. 대한가정학회지, 34(3), 1-8
  15. 윤숙현(1995). 아리스토텔레스의 가정관 연구. 호남대학교논문집, 16(2), 235-246
  16. 이기열(1989). 가정학 본질의 재조명. 대한가정학회 제 42차 총회 및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1-23
  17. 이기영(1998). 인간과 생활환경에 관한 가정학적 접근. 인간과 생활환경. 서울: 학지사
  18. 이순형(1999). 아동학 전공자의 사회 공헌 평가와 그 전망. 대한가정학회 제 52차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64-70
  19. 이 옥(1999), 아동연구는 아동문제의 사회화에 기여했는가. 한국가정관리학회 제 26차 학술대회 자료집, 26-44
  20. 이희자, 정영숙(1987). 아동.가족학 분야의 전문성과 영역. 대한가정학회 창립 40주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22-28
  21. 정민자(2003). 건강가정육성기본법(안)의 입법 방향과 내용. 대한가정학회지, 41(9), 163-177
  22. 조희금(1997). 공공가정관리사의 역할 및 제도화에 대한 시론적인 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 119-133
  23. 조희금, 김경신, 정미자, 송혜림, 이승미, 성미애, 이현아(2005). 건강가정론. 서울: 신정
  24. 조희금, 박미석(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이념과 체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31-344
  25. 한국보육교사회(2006). 돌봄의 보육 -관계중심의 교육, 그 시작을 위하여-. 서울: 교육과학사
  26. 현온강(1998). 아기도 무엇이든 할 수 있어요. 인간과 생활환경. 서울: 학지사
  27. Buboltz, M. M. (1994). Integration in Home Economics D312 and Human Ecology. 윤복자. 가정학 인간생태학의 통합. 인간생태학적 측면에서의 가정학.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창립 30주년 기념 국제 학술 심포지움, 111-132
  28. Holmes, J. (1993). 이경숙(2005). 존 볼비와 애착이론.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