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sychological Life Position,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Child-rearing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 및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연구

  • Yeom, Mi-Ae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Moon, Hyuk-Jun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염미애 (가톨릭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sychological life position,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were 267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fiv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assessed by the teacher rating scale developed by Kin(1998)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the maternal psychological life position and involvement in child-rearing. Data was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demonstrated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gender and age. The strongest predictor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child's age.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수(2001). 어머니와 자녀의 정서지능 관계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윤정(1997). 정서지능의 발달 경향성과 구인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희(1996). 정서지능의 의미와 중요성. 1996년도 유아교육 학술대회. 성숙한 감성 교육의 방향모색.(pp. 31-38). 한국어린이육영회
  4. 김경회(1998). 교사용 유아정서 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경회, 김경희(2000). 유아 정서지능 발달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1(4), 21-34
  6. 김영란(2004).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의 관계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형옥, 안선희(2001).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 정서 발달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9), 15-25
  8. 노명희, 박상희(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07-127
  9. 문혁준(1998). 부모의 자녀 양육태도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1), 91-101
  10. 박영애, 최은경(2001). 부모의 양육행동 및 인성과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221-238
  11. 박영애, 최희영, 박인전(2000). 어머니의 성격특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행동에 대한 어머니와 아동의 지각차이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3(2), 71-88
  12. 배기조(2001). 취학전 아동의 개인 및 가족적 특성이 마음의 이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백수정(2002). 부모 화합도와 이동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설경옥(2005). 아버지의 심리적 자세 및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현지(1999).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우수경(2002).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간의 구조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병래(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1999). 교사 평정에 의한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도구 개발 연구. 인간발달연구, 6(2), 121-145
  19. 이영환, 조복희, 이진숙(1999).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인 아버지 노릇 척도개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2), 79-89
  20.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이주리(2002). 아동의 정서지능과 관련 변인들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3(3), 65-78
  22. 이혜련, 최보가(2005). 유아의 개인 및 부모특성과 정서이해와 정서조절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5), 1-14
  23. 장미선(2005). 아동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9, 83-96
  25. Berne, E. (1966). Transactional analysis in psychotherapy. NY: Grove Press
  26.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7. Dunn, J., & Brown, J. (1994). Affective expression in the family,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their interaction with others. Merrill-Palmer Quarterly, 40, 120-137
  28.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29. Gneep, J., & Hess, D. L. R. (1986).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splay rules for expressive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22, 103-108 https://doi.org/10.1037/0012-1649.22.1.103
  30. Gottman, J. M., & Katz, L. F. (1989).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s and health. Developmental Psychology, 25, 373-381 https://doi.org/10.1037/0012-1649.25.3.373
  31. Hains, A. A., & Ryan, E. B. (1983). The development of social cognitive processes among juvenile delinquents and nondelinquents peers. Child Development, 54, 1536-1544 https://doi.org/10.2307/1129817
  32. Hughes, R., Tingle, Jr. B. A., & Sawin, D. B. (1981). Development of empathic understanding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2, 122-128 https://doi.org/10.2307/1129221
  33. Kendall, P. C., & Wilcox, L. E. (1980).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for impulsivity: Concrete versus conceptual training in non-self-controlled problem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8, 80-91 https://doi.org/10.1037/0022-006X.48.1.80
  34. Kernberg, O. (1976). Object Relations Theory and Clinical Psycho Analysis. New York: Jason Aronson
  35. Mayer, J. D., DiPaolo, M., & Salovey, P. (1980). Perceiving affective content in ambiguous visual stimuli: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3, 772-781
  36. Mayer, J. D., DiPaolo, M., & Salovey, P. (1990). Perceiving the affective content in ambiguous visual stimuli: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4, 772-78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403&4_29
  37. Mayer, J. D., & Geher, G. (1996).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22, 89-113 https://doi.org/10.1016/S0160-2896(96)90011-2
  38. Mayer, J. D., & Salovey, P. (1990). Emotional Intelligence.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0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39. Mayer, J. D., & Salovey, P. (1996).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22, 245-267
  40.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and D. J.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New York: Basic Books
  41. Mischell, W. (1990). Predicting adolescent cognitive and self-regulatory competencies from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6, 78-86
  42. Reisenzein (1983). The Schachter theory of emotion Two decades later. Psychological Bulletin, 94(2), 239-264 https://doi.org/10.1037/0033-2909.94.2.239
  43. Richard, B. A., & Dodge, K. A. (1982). Social maladjustment and problem solving i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0(2), 226-233 https://doi.org/10.1037/0022-006X.50.2.226
  44. Sternberg, R. (1986). Successful intelligence. New York: A Plume Book
  45. Wierzbicki (1993). Psychological adjustment of adoptees: A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2(4), 447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204_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