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ool Mathematics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Volume 8 Issue 1
- /
- Pages.45-68
- /
- 2006
- /
- 1229-4322(pISSN)
A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Singapore: Focused on the Geometry and Measurement Strand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 Choi Byoung-Hoon (Graduate School of KNUE) ;
- Pang Jeong-Suk (KNUE) ;
- Song Keun-Young (Graduate School of KNUE) ;
- Hwang Hyun-Mi (Graduate School of KNUE) ;
- Gu Mi-Jin (Graduate School of KNUE) ;
- Lee Sung-Mi (Graduate School of KNUE)
- 최병훈 (한국교원대 대학원) ;
- 방정숙 (한국교원대) ;
- 송근영 (한국교원대 대학원) ;
- 황현미 (한국교원대 대학원) ;
- 구미진 (한국교원대 대학원) ;
- 이성미 (한국교원대 대학원)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Singaporean students have demonstrated their superior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positive mathematical disposition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mpared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with Singaporean counterparts focusing on the geometry and measurement str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many aspects, including an overall unit structure, the contents to be covered in each grade, and the methods of introducing essential learning themes. The textbooks were also compared and contrasted with regard 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ng mathematical contents. Whereas Korean textbooks used block teaming, Singaporean textbooks used repeated teaming. The latter also employed the activity of classifying multiple figures as the main method of introducing concepts. Whereas Korean textbooks consist of typical examples of figures, Singaporean counterparts include various example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mathematical variability.
본 연구는 싱가포르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대해 최근 고조된 국제적 관심을 바탕으로,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단원의 전반적인 전개방식 및 각 학년별 학습 내용과 주요 학습 주제 도입 시기를 면밀히 분석하여 교과서 개발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는 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구체적인 교과서 사례를 바탕으로 학습 내용 구성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블럭 학습형태인 반면에, 싱가포르는 반복 학습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또한 싱가포르는 다각적인 분류 활동을 강조하여 도형의 핵심적인 속성을 파악하도록 교과서를 구성한 점이 돋보였다. 우리나라는 전형적인 모델을 주로 사용하는 반면에, 싱가포르는 다양한 모델을 제공하여 개념 형성에 폭넓은 기회를 주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