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독일 지역지리학의 전개 -전통과 변화-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Geography in Germany since 1945 : Traditions and Changes

  • Ahn, Young-Jin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04.30

초록

이 글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지역지리학의 전개과정과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후 독일 지역지리학은 영미와 다른 위기와 재흥과정을 거치면서 전통의 지속과 새로운 변화를 겪어 왔다. 독일의 지역지리학은 1950, 60년대를 거치면서 전래의 방법론을 고수하면서 지리학 내외의 급속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1960년대 말 이래 심각한 위기에 빠졌다. 따라서 1970, 80년대에 지역지리학은 다양한 발전 방향과 방법론을 모색하면서 새로운 연구 개념을 제시하는데, 그것은 곧 지지의 실용적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과학적으로 조직화된 정보를 수신자 위주로 제공하는 지리학 분야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1990년대 이래 통독과 함께 '지지연구소'가 설립되면서 지역지리학의 학문적 위상과 방향을 둘러싼 논의가 다시금 대두하고 있으며, 그 전도는 여전히 열려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regional geography (including regional studies) in Germany since 1945 in the context of its traditions and changes. From 1945 to the end of 1960s, in spite of many hies of renovation regional geography has faced critics and fall into a serious crisis. After the 1970s many geographers intensively have searched for the new conception and broadly accepting methodological way of regional geography, and in the advent of 1980s regional geography is regarded as a special form of collecting and presenting spatial informations in terms of the addressee. But in the after-era of german unification and through the new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 for the Regional Geography in Leipzig, a discussion on the research aim and future of regional geography was resumed, and its future direction is op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