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실천적 추론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Yoo Tae-Myu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 ;
  • Chae Jung-Hyu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 Education)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practical reasoning teaching-learning material for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ested its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The type of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and its independent variable was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and its dependent variable was self-esteem.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pretest-posttest design.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was given for experimental group whereas traditional instruction was given to comparison group. For measuring self-esteem,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Choi & Jun(1993) was used and its Cronbach'a was ranged from .69 to .84. Statistic analysis was done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mples and paired t-test for testing difference of pretest-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mproved middles school students' self-esteem, the gener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among sub-areas of self-esteem in particular.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천적 추론을 강조한 가정과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현장 교사가 이 수업을 실행하여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형태는 의사실험 연구(quasi-experimental research)로서 독립 변수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수업이며 종속변수는 자아 존중감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전후검사설계로 기존의 학급을 유지하면서 실험집단에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수업을 행하고 비교 집단에는 기존에 행하고 있는 가정과수업을 그대로 행하여 실험전과 후에 자아존중감을 검사를 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알파계수가 .69에서 .84의 범위 수준이었다.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내었으며, 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특히 자아존중감 하위영역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천적 추론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결심하면 실천하도록 하며, 자신에 대해서 만족하구 혼자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자신을 좋아하고, 원하면 친구를 사귈 수 있다고 생각하게 하는데 효과적인 수업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