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 RESULTS OF A MULTICENTER STUDY

야뇨증 환아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대한 다기관 연구 : 발달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중심으로

  • Cho Soo-Churl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Min-Sup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wang Jun-Won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Sang-Won (Department of Ur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Kwan-Hyun (Department of Urology, Sungkyunk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Don (Department of Ur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yung-Do (Department of Urology, Chung 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un-Suk (Department of Urology, Ul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uh Hong-Jin (Department of Ur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Lee Yoo-Sik (Department of Urology, Sungkyunk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Jae-Yong (Department of Ur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Kyoon (Department of Urolog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operation Ilsan Hospital) ;
  • Kim Jae-Won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조수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정신과학교실) ;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정신과학교실) ;
  • 황준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정신과학교실) ;
  • 한상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 박관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 이상돈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 김경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 김건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 서홍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 이유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 정재용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 김영균 (의료보험건강공단 일산병원 비뇨기과) ;
  • 김재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nocturnal enuresis in Korean children. Methods : Three hundred eighteen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together with their parents, completed a parent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Data related to the prenatal, perinatal and developmental history, past and current medical history were collected. Ninety-three normal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Results :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attained diurnal and nocturnal urinary control significantly later than those in the normal control group.49.2% of the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had the family history of nocturnal enuresis. Daytime incontinence was present in 41.3% of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The percentages of sleep-related disturban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cturnal enuresis group when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42.6% of the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experienced pharmacotherapy, and 0.4% experienced enuresis alarm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in Korea have a high genetic load and a possibility of developmental delay, which supports the neurodevelopmental point of view with regard to the etiology of nocturnal enuresis. The physicians in Korea prefer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to alarm interventions in treating Korean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목 적 : 국내의 야뇨증 아동들을 대상으로 발달학적 및 임상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318명의 야뇨증 아동의 부모가 임신 및 출산력, 소아 청소년의 발달력 및 의료과거력에 대한 반구조화된 설문지와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 이하 K-CBCL)를 작성하였다. 93명의 정상아동이 대조군으로 선정되었다. 결 과 : 임신 및 출산력을 비롯한 발달력 상 야뇨증 환아들이 정상 아동에 비해 낮소변과 밤소변을 가린 평균월령이 유의하게 늦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환아군에서 야뇨증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49.2%로 대조군(5.9%)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에 유뇨 증상이 있는 경우는 환아군에서 41.3%로 대조군(7.5%)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수면과 관련된 변인에 있어서도 야뇨증 아동들이 정상 아동에 비해 수면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야뇨증 아동들의 42.6%가 병원에서 약물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67.7%에서는 한방 약물 치료를 경험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 경보기를 사용한 행동치료의 경험은 0.4%로 지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야뇨증 환아들에서 유전적 소인이 높고 발달 지연의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이는 신경발달학적 장해로서의 야뇨증을 지지하는 소견으로 볼 수 있겠다. 국내의 치료자들은 경보기를 이용한 행동치료보다는 약물치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