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Content Relevance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제7차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 분석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the school science contents that have been implemented for the 7-10th grade students in Korea since 2001.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we 1) analyzed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Korea, California science standards,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England, Japanes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current Korean and Japanese science textbooks, 2)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in order to gather opinions from students, teachers, and science specialists.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opics presented at each grade level should be reduced and similar topics and themes should be integrated for students' deeper understanding. Second, science contents were excessive compared to the allotted teaching time and to foreign countries. Thus, the excessive overlapping and repetition of science contents should be avoided among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and the number of science concepts and activities should be reduced to an appropriate level considering time allotment for science classes, teachers' workload, laboratory conditions, etc. Third, to cope with the decreas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s in science as school level and school year goes up, the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to allow for student to learn science concepts by solving problems confronted in their daily lives. Fourth, a differentiated curriculum such as in-depth and supplementary course should be described not in science contents, but i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의 7-10학년 과학내용의 적정성을 분석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우리나라의 제7차 교육과정, 미국 캘리포니아주 과학기준, 영국과 일본의 교육과정, 우리나라와 일본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2) 교사, 학생, 대학교수 및 교과서 집필자의 의견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년의 주제 또는 단원수가 지나치게 많고 단원간 연계가 적합하지 않으므로 유사한 것은 통합하여 단원수를 줄여야 한다. 둘째, 시수 대비 및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학습량이 많고 초 중 고교간 내용의 중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 학년 과학은 중학교 및 고교 11-12학년 과학과 중복이 심하다. 따라서 과학 개념수와 활동수는 수업 시수, 교사의 수업 부담, 실험실 여건 등을 고려하여 중복 내용 배제와 탐구 활동 수 감축 등으로 적정수준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셋째,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도와 흥미가 감소하므로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도입하여 탐구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선이 필요하고, 시수도 증가하여야 한다. 다섯째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내용에서 규정할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 방법에서 제시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2002) 과학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2-4-5
  2.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범기, 권재술, 김효남, 백성혜,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7).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4. 김재춘 (2004) 교육내용의 적정화 전제와 쟁점. 교육내용의 적정화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과정학회 공동주최 2004 학년도 학술 세미나 자료집, 19-36
  5. 박순경, 허경철, 이화진, 소경희 (2001). 제 7차 교육 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지원 요구 조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1-5-1
  6. 백성혜, 조부경, 김효남 (2000). 유치원, 초등, 중등학교 과학 교재의 '물질의 성질' 관련 학습 내용 전개에 대한 특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27-541
  7. 심규철, 이부연, 김현섭 (2003).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 영역 물질대사에 관련한 학습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27-633
  8. 심규철, 안중임, 김현섭 (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 영역 물질대사 관련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02-215
  9. 유모경, 조희형 (2003).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94-504
  10. 윤병희 (2004). 교육내용의 적정화-체육, 미술, 음악, 실과를 중심으로 에 대한 토론 원고. 교육내용의 적정화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학회 공동주최 2004 학년도 학술 세미나 자료집, 183-188
  11.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태철,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박병훈, 박정일, 정수도, 김경수, 박지근, 송양호, 이천기 (2001). 중학교 과학 1, 2, 3. 서울: 지학사
  12. 이돈희 (2004). 교육내용의 적정화, 왜, 무엇을, 어떻게? 교육내용의 적정화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한국교육과정학회 공동주최 2004학년도 학술 세미나 자료집, 10-17
  13. 이돈희, 곽병선, 최석진, 허경철, 조난심, 박순경, 홍후조, 김재춘(1997). 제 7차 교육과정 에 따른 교과교육과정 개발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97-36
  14. 이양락(2004). 교육과정 개발 체제 및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68-480
  15.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2004).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6
  16. 조난심, 양종모, 유정애, 정미경, 장연자 (2001),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1-10
  17. 최돈형, 손연아, 임희준 (2001). 제6.7차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양 및 수준 비교 분석. 한국교육, 28(1), 181-203
  18. 홍후조(2004). 교육내용의 적정화-국어,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육내용의 적정화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 한국교육과정학회 공동주최 2004학년도 학술 세미나 자료집, 48-81
  19. 三浦 登 외(平成 16年). 新訂 新しぃ 科學1分野 上, 下, 2分野 上, 下. 東京書籍
  20. 文部省(平成 10年-1998). 中學校學習指導要領. 國立印刷局
  21.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2003). Science Content Standards for California Public Schools. Kindergarten through Grade Twelve.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22. DEE & QCA(l999). Science: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ngland. www.nc.uk.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