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ire Safety Awareness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소방안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방창훈 (경북전문대학 소방안전관리과) ;
  • 정계영 (경북전문대학 유아교육과) ;
  • 이용주 (경북전문대학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raise the fire safety awareness level which the teachers have in infant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der the fire safety awareness level of our society low, though their fire safety awareness level be above the average.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e safety is mapped out and the teachers prefer an observation class and a field trip for the program in almost infant school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difficulty acquiring the knowledge for the field experience and work and getting teaching aids for the fire safety. Theref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tremely much desire teaching aids for infants to be developed and diffused.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소방안전에 관한 의식을 조사하여 소방안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들은 우리사회의 소방안전의식이 전반적으로 낮다고 평가하였으며, 교사 개인의 소방안전의식에 대해서는 평균이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에는 대부분 소방안전교육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며, 소방안전교육을 위해서는 관찰 견학 수업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아교사들은 현장체험 및 실기실습상의 어려움과 소방안전에 관한 교육 자료의 부족에 대하여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유아를 위한 소방안전 교육자료의 개발보급을 요구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현, '소아사고의 실태에 관한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991)
  2. 한국소비자보호원, '영유아의 가정 내 안전실태 조사결과'(1999)
  3. 배소연, '보육교사의 자질향상', 생활과학연구지, 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Vol. 2, pp.123-146(1996)
  4. 4. Spodek, Saracho & Davis, 'Found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1988)
  5.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1999)
  6. 법제처(2001)
  7. 곽은복,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0)
  8. Spodek, B. and Saracho, O. N., 'Right form the start'. Boston: Allyn & Bacon(1994)
  9. American Red Cross, 'American Red Cross Child Care Course Health and Safety Units Workbook'. AAP(1990)
  10. 장영희, 정미라, 배소연,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실태', 유아교육연구, Vol. 17, No. 1, pp.23-44(1997)
  11. 통계청, 2003년도 사망원인 통계(2004)
  12. Jones, R. T. and Haney, J. L, 'Social Validation and Training of Emergency Fire Safety Skills for Potential Injury Prevention and Life Saving',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Vol. 14, pp.249-260(1981) https://doi.org/10.1901/jaba.1981.14-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