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on Expressed in the Costume of Chinese Song(宋) Dynasty

송대(宋代) 복식에 표현된 선의 유형과 조형특성

  • Ok, Myung-S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
  • Park, Ok-Ly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
  • Lee, Joo-Young (Dept. of Fashion Design, Tong Myoung University)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on expressed in the costume of Chinese Song.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classified types of Seon, found in the Chinese costume, in terms of composition method, decorative technique and used materials. In addition,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nalyz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an in accordance with the range and post of use, pattern and color combination. Seon expressed in the costume of Chinese Song can be classified into standard, decoration, application and Buseon in type. When the typical distribution of Seon expressed in the costume of Chinese Song, standard type was highest in percentage, especially different color type. Looking at the range of use, Seon was mainly used for outfits, especially Jikcheol(直?) and Hakchangeui for men and Baeja(背子) for women. Looking at the post of use, Seon was mainly used to edges of costume and sometimes also to seams. In regard to materials of Seon, they were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size and brilliance or non-brilliance of pattern employed in the texture of Seon. The most commonly used pattern of Seon was single-type pattern, especially the pattern of plant. Pattern arrangement was most often filling in type. Concerning the color combination of Seon, men's dress most often used black-white combination, followed by different color combination while, women's dress most often employed complementary color combination, followed by different color combination.

Keywords

References

  1. 李正玉, 南厚先, 權美靜, 陳玄善 (2000) 中國服飾史. 서 울: 형설출판사, p, 165
  2. 中華五千年文物集刊편, 손경자역 (1995), 中國服飾5000年(上) 서울: 경춘사, p. 31
  3. 서옥경 (1992). 고려시대와 송대의 관복 비교연구 공 .상복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박사학위논문
  4. 서옥경 (1997). 高麗時代와 宋代의 冠服 비교연구公 .常服을 중심으로. 복식, 31
  5. 서옥경 (1997) 宋代의 冠服에 관한 연구 公.常服을 중심으로. 복식, 34
  6. 김혜영 (1994). 고려와 元 복식의 비교 연구. 世宗大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7. 손경자 (1990). 한국.몽고복식의 상관성 연구(I) 고려시대의 몽고침략기를 중심으로. 복식, 14
  8. 손경자 (1991). 한국.몽고복식의 상관성 연구( II ) 고려시대의 몽고침략기를 중심으로. 복식, 16
  9. 유희경 (1974). 고려복식에 미친 중국복식의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논문집. 23
  10. 이순자 (1995) 송복식이 고려복식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여자복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3권
  11. 김문숙 (1981). 우리복식에 중국복식이 미친 영향. 서울여대 박사학위논문
  12. 周錫保 (2001) 中國古代服飾史. 北京. 中國敏劇出版社. p. 257
  13. 黃能馥, 陳娟娟 (2004) 中國服飾史.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p. 304
  14. 임명미 (1988), 中國의 古代服飾硏究( I ) 서울: 경춘사, pp 89-90
  15. 李正玉, 南厚先, 權美靜, 陳玄善 (2000). 中國服飾史. 서 울: 형설출판사.p 165
  16. 中華五千年文物集刊편, 손경자역 (1995),中國服飾5000年(上) 서울: 경춘사, pp 30-31
  17. 中華五千年文物集刊편, 손경자역 (1995),中國服飾5000年(上) 서울: 경춘사, pp 30-31
  18. 周錫保 (2001) . 中國古代服飾史. 北京. 中國敏劇出版社. pp 257-264
  19. 黃能馥, 陳娟娟 (2004) 中國服飾史.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pp 304-320
  20. 華梅 (2003) 中國服裝史. 天律. 天律人民美術出版社, PP. 72-77
  21. 華梅 著, 朴聖實, 李秀雄 譯 (1992) 中國服飾史. 서울: 경춘사, pp. 145-153
  22. 李正玉, 南厚先, 權美靜, 陳玄善 (2000). 中國服飾史. 서 울: 형설출판사, pp 164-173
  23. 김문숙 (2000), 고려시대 원간섭기 일반복식의 변천.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1-92
  24. 王宇淸 (1975), 中華服飾圖錄. 台北 世界地理社, 民國 73, pp. 114-115
  25. 周錫保 (2001). 中國古代服飾史. 北京. 中國敏劇出版社, pp 288-313. 128
  26. 黃能馥, 陳娟娟 (2004) 中國服飾史.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PP. 321-327
  27. 華梅 (2003). 中國服裝史. 天律. 天律人民美術出版社, pp. 77-80
  28. 華梅 著. 朴聖實, 李秀雄 譯 (1992). 中國服飾史. 서울: 경춘사, pp. 155-160
  29. 李正玉, 南厚先, 權美靜, 陳玄善 (2000). 中國服飾史. 서 울: 형설출판사, pp. 173-182
  30. 이순자 (1995). 송복식이 고려복식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여자복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3권 pp. 130-136
  31. 李正玉. 南淳先. 權美靜, 陳玄善 (2000). 中國服飾史. 서 울: 형설출판사, p 175
  32. 中華五千年文物集刊편, 손경자역 (1995).中國服飾5000年(上) 서울: 경춘사, p 31
  33.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彌陀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禪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p 60-62
  34. 옥명선, 박옥련 (2006). 고려후기 수월관음圖 복식에 표현된 禪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6(1), pp 73-74
  35.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3).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禪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3(8), pp 40-43
  36. 周迅, 高春明 (1988). 中國歷代婦女裝飾. 上海. 學林出版社, p. 228
  37.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3).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禪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3(8), p 41
  38. 黃能馥, 陳娟娟 (2004) 中國服飾史.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p. 277
  39.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3).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禪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3(8), p. 41
  40. 中華五千年文物集刊편, 손경자역 (1995),中國服飾5000年(上) 서울: 경춘사, p 290
  41. 박경자 (1989). 福州南宋黃昇墓 出士服飾 硏究. 생활 문화연구, 제3집, p. 13
  42.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3).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禪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3(8), p. 42
  43. 周錫保 (1986). 中國歷代服飾. 臺北丹靑圖書有限公司, p. 187
  44. 周錫保 (1986). 中國歷代服飾. 臺北丹靑圖書有限公司, p. 186
  45. 中華五千年文物集刊편, 손경자역 (1995). 中國服飾5000年(上) 서울: 경춘사, p 308
  46. 中華五千年文物集刊편, 손경자역 (1995). 中國服飾5000年(上) 서울: 경춘사, p. 312
  47. 周錫保 (2001) 中國歷代服飾. 臺北丹靑圖書有限公司, p 339
  48. 옥영선, 박옥련, 이주영 (2003)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禪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3(8), p. 44
  49. 조효숙 (1993) 韓國 網織物 硏究 - 高麗時代를 中心 으로. 세종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3
  50. 이춘식 (2005). 중국사서설, 서울. 교보문고, p 324
  51. 華梅 著. 朴聖實, 李秀雄 譯 (1992). 中國服裝史. 天律. 天律人民美術出版社, p. 169
  52. 민길자. 심연옥 (1998). 중국의 역대직물 서울. 한림원, pp. 11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