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in the Political Science of Korea

한국 정치학의 탈식민성 담론에 대한 서지적 고찰

  • 이용재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이철순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We share the critical mind about the decolonization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LIS) and Political Science in Korea. We did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in the Political Science of Korea. Concretely, we traced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of the scholars of the Political Science in Korea, and wrote their abstracts. Finally, this study provided the general view of their decolonization discourse. This study covers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from 1945 to 2005. This bibliographical review may show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LIS and social sciences in Korea, and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in the Political Science of Korea.

필자들은 한국 문헌정보학과 정치학의 탈식민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한국 정치학 분야를 대상으로 탈식민성 담론에 대한 서지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정치학자 중에서 한국의 정치현실에 부응하고 적실성 있는 정치학을 모색하는 학자들의 담론을 추적하고 그들의 연구물을 초록하고, 나아가 이러한 논의를 정리하여 개관하였다. 조사대상은 해방이후 최근까지의 한국 정치학의 탈식민성 담론이다. 이러한 서지 비평연구는 한국 사회과학과 문헌정보학의 소통 가능성을 보여주고 한국 정치학의 탈식민성 담론의 발전에 도움을 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근, 김영기. '한국 언론학의 탈식민성 담론에 관한 서지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제31권, 제1호(2000. 3). pp.63-86
  2. 이한우. 우리의 학맥과 학풍 (서울: 문예출판사, 1995) , p.210
  3. 진덕규. '한국의 정치학을 위하여.' 한국사회연구, 제1집 (1983). p.67
  4. 윤근식. ''사회'없는 정치학과 한국정치학.'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한국사회과학론. '사회' 없는 사회과학들이 어떤가? (서울. 대왕사, 1983), pp.85-86
  5. 정해구. '한국 사회현실과 한국 정치학.' 학술단체연합심포지움 준비위원회 편, 한국인문사회과학의 현단계와 전망 (서울: 역사비평사, 1988), p.101
  6. 이한우. 우리의 학맥과 학풍 (서울: 문예출판사, 1995). p.211
  7. 윤근식. ''사회'없는 정치학과 한국정치학.'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한국사회과학론. '사회' 없는 사회과학들이 어떤가? (서울. 대왕사, 1983). p.86
  8. 정영태. '정치학연구의 주요 쟁점과 그 연구현황.' 한국산업사회연구회 편, 현대한국인문사회과학연구사 : 80, 90년대 비판학문의 평가와 전망 (서울: 한울. 1994), p.10
  9. 최완규. '한국정치학의 연구동향.' 사회과학연구(경남대 사회과학연구소). 창간호(1989), p.15
  10. 문승익, ' 종속이론이란 무엇인가?.' 윤근식 편. 현대정치의 정치경제학적 분석(서울: 법문사, 1980) , p,85: 문승익은 '자아준거적 한국정치이론'을 주창하는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적인 정치학의 정립을 위해 지속적으로 작업하였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책에 소개되어 있다. 문승익, 자아준거적 정치학의 모색(서울: 오름, 1999)
  11. 문승익. 자아준거적 정치학의 모색 (서울: 오름, 1999)
  12. 진덕규, '한국의 정치학을 위하여.' 한국사회연구, 제1집 (1983).pp.65-88
  13. 이홍구. '근대한국정치학의 백년 그 한계성의 극복을 위한 자성.' 한국정치학회보, 제20집, 제2호 (1986),pp.8-10
  14. 최장집. '한국정치학의 현황과 바람직한 방향.' 현상과 인식(한국인문사회과학원), 제11권. 제1호 (1987),pp.134-146
  15. 정해구, '한국 사회현실과 한국 정치학.' 학술단체연합심포지움 준비위원회 편, 한국인문사회과학의 현단계와 전망 (서울: 역사비평사, 1988), pp.100-109
  16. 강정인. '서구중심주의의 폐해: 학문적 폐해를 중심으로.'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서울: 아카넷. 2004). p.416
  17. 이정복. '한국정치학의 변화와 발전방향.' 한국정치연구. 8, 9호 합병호 (1999). pp.549-567
  18. 김석근. '주변부 지식인의 '허위의식'과 '자기정체성' : '한국정치사상'을 위한 마지막 진술.' 한국의 정치학: 현황과 전망 (서울: 법문사. 1997), pp.104-145
  19. 정영태. '한국정치학의 미국편향성과 한국 정치.' 학술단체협의회 엮음, 우리 학문 속의 미국(서울: 한울. 2003). p.158
  20. 김영명. '한글 사회과학을 세우자.' 정신문화연구, 제23권, 제2호 (2000. 여름). pp.189-208
  21. 정윤재. ''자아준거적 정치학'과 한국정치사상연구 문제해결적 접근의 탐색.' 한국정치사상의 비교연구(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pp.3-38
  22. 배병삼. '한국 정치학의 기원과 정체성 탐색.' 한국정치학회보, 제37집, 제2호 (2003). pp.87-105
  23. 김영섭. '제국정치학과 국제정치학. 한국적 국제정치학을 위한 모색.' 세계정치연구, 제1권, 제1호 (2001). pp.3-38
  24. 김영명. '우리 정치학 실천의 방안: 문제와 국제정치학의 예.' 정신문화연구, 제26권, 제1호 (2003, 봄). pp.3-23
  25. 전재성, 박건영. '국제관계이론의 한국적 수용과 대안적 접근.' 국제정치논총, 제42집, 제4호 (2002). pp. 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