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Model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oil Factors of Tulipa edulis Habitat

산자고 자생지의 생육특성 및 토양요인간 상관모형

  • You Ju-Han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Jung Sung-Gwa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Cheol-Hee (Department of Horticultu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raw data on the method of cultiv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by systematical analysing habitat environment of Tulipa edulis that was expected as medicinal and ornamental resource. The habitat environment was that the altitude was 245 m, the aspect of south, the size of approximately $49\;m^2$, and there was analyzed that Tulipa edulis grew wild in the dryly sunny spot.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62 taxa; 28 families, 59 genera, 50 species, 11 varieties and 1 forms, and the resource plants were classified that there were 23 taxa of ornamental plants(37.1%), 43 taxa of edible plants(69.4%), 34 taxa of medicinal plants(54.8%) and 29 taxa of others(46.8%). In the results of soil factors analysis, there showed that acidity was pH 4.9, organic matter content of 4.9%, available $P_{2}O_{5}$ of 3.6 mg/kg, exchangeable $K^+$ of $0.5\;cmol^{+}/kg$, exchangeable $Ca^{2+}$ of $3.0\;cmol^{+}/kg$, exchangeable $Mg^{2+}$ of $0.8\;cmol^{+}/kg$, cation exchange capacity(C.E.C) of $12.3\;cmol^{+}/kg$ and electrical conductivity(EC) of 0.3 dS/m.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factors, exchangeable $Ca^{2+}$ and C.E.C were highly correlativ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ulipa edulis were surveyed that height was 7.6 cm, leaf width of 0.6 cm, leaf length of 12.7 cm, flower width of 2.8 cm, peduncle of 5.4 cm and chlorophyll of $34.7\;{\mu}g\;mg^{-1}$.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height and peduncle were highly correlative.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factors and growth characteristics, exchangeable $K^{+}$ and leaf length were high relativity but they were confirmed negative relation. In the results of growth model analysis, R-square of leaf width and exchangeable $K^{+}$ was some 86.4% and that of chlorophyll and exchangeable $K^{+}$ was some 83.7%.

본 연구는 약용 및 관상용 자원으로써 기대되는 산자고의 자생지 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재배법 및 생태적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자생지 환경은 해발 245 m, 방위는 남향, 자생지 면적은약 $49\;m^2$이고, 건조한 양지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속식물상은 28과 59속 50종 11변종 1품종 등 총 6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자원식물상은 관상용 23종(37.1%), 식용 43종(69.4%), 약용 34종(54.8%), 기타용 29종(46.8%)으로 분류되었다. 토양요인 분석결과, 산도는 pH 4.9, 유기물함량 4.8%, 유효인산 3.6 mg/kg, 치환성 칼륨 $0.5\;cmol^{+}/kg$, 치환성 칼슘 $3.0\;cmol^{+}/kg$, 치환성 마그네슘 $0.8\;cmol^{+}/kg$, 양이온치환용량 $12.3\;cmol^{+}/kg$, 전기전도도 0.3 dS/m로 나타났다. 화학적 특성간 상관분석결과, 치환성 칼슘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산자고의 생육특성은 초장 7.6cm, 엽폭 0.6 cm, 엽장 12.7cm, 화폭 2.8 cm, 화경장 5.4 cm, 엽록소량은 $34.7\;{\mu}g\;mg^{-1}$로 조사되었다. 생육특성간 상관분석 결과, 초장과 화경장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토양요인과 생육특성간 상관성 분석결과, 치환성 칼륨과 엽장이 높은 상관성으로 보였으나 이들의 관계는 부적 상관성으로 확인되었다. 생육모형 분석 결과, 엽폭과 치환성 칼륨의 설명력은 약 86.4%, 엽록소량과 치환성 칼륨은 약 83.7%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으 발생상황. 한국잡초학회지 22(3): 207-226
  2. 강현경, 大黑 俊哉, 井手 任. 2003. 절멸위기종 낙지다리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환경특성- 일본 茨城縣 南部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2): 83-93
  3. 구본학, 강재선, 김정욱. 2000. 서해안 임해매립지 녹지공간 토양성분들의 상관성 및 경시적 변화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7(5): 161-169
  4. 기상청. 2003. 기상연보. 기상청.pp.293
  5. 김대향, 박춘봉, 강찬호, 김종엽, 임주락, 최정식, 최영근. 2003. 천문동자생지 환경 및 생육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1(3): 212-215
  6. 김도균, 장병문, 김용식. 2000. 임해매립지의 토양환경이 곰속과 느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8(4):9-20
  7. 김승현, 이종석. 1992. 제주도 한라산말나리의 자생지생육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화훼연구회지 1(1):37-46
  8. 김지연, 이종석. 1998.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 Sw.) 자생지의 생육환경에 관하여. 원예과학기술지 16(1): 30-32
  9.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V. 서울대학교출판부.pp.165
  10. 문형태, 표재훈, 김준호. 1998. 여천공단 주변지역 토양의 화학적 성질. 한국생태학회지 21(1): 1-6
  11. 박정민, 장계현, 이성태, 송근우, 강진호. 2000. 삽주의 자생지환경과 생육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8(4):327-333
  12.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pp.544
  13. 서부일, 이은숙. 2003. 산자고의 독성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약응용학회지 3(1):73-82
  14. 송주택. 1985. 식물학대사전. 거북출판사. pp. 24-1582
  15. 송천영, 방창석. 2001. 페튜니아 일대 잡종에서 초장과 개화관련형질의 상호관계 및 조합능력. 한국원예학회지 42(5):601-605
  16. 신현철, 박남창, 송호경, 최재채, 정영교, 권영한, 이광수, 김영걸. 2002. 후박나무림의 식생구조와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91(6): 765-774
  17. 안영희, 최광율. 2002. 자생 뻐꾹채의 분포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원예과학기술지 20(2): 130-137
  18. 안영희,. 2003. 제주도의 자생 황근 분포와 자생지 생태적 특성. 원예과학기술지 21(4): 440-446
  19. 유기억, 이우철, 오영주. 1999. 모데미풀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4): 312-323
  20. 유용권, 오장근, 박천호. 2000. 자란 자생지의 지리적 분포 및 식생. 한국원예학회지 41(2): 212-216
  21.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김덕식, 이철희. 2004a, 충청북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7(2): 122-134
  22. 유주한, 조흥원, 정성관, 이철희. 2004b. 미선나무 자생지의 생육특성과 환경특성간의 상관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210-220
  23.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pp. 1-491
  24.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pp. 5-791
  25. 이철희. 2003. 자생식물의 이용과 재배기술.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26. 임진희, 상채규. 1990. 노루귀(Hepatica asiatica Nakai) 재배화를 위한 자생지 생육환경에 관하여. 한국원예학회지 31(1): 81-89
  27. 정정학, 김기선, 홍영표. 1991. 한국 자생 나리의 분포와 자생지의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32(2): 270-277
  28. 정정학. 1999. 한국 자생 둥근잎꿩의 이름(Sedum rotundifolium)의 분포와 생육환경 및 자생지에서의 형태적 특성조사. 원예과학기술지17(4): 501-503
  29.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30. 조인상, 허봉구, 김이열, 조성진. 1985. 우리나라 토양의 물리화학적특성 상화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8(2): 134-139
  31. 최종명, 정석기, 차기휴, 정해준, 서관석. 2000. 칼퓸의 시비농도 조절에 따른 딸기 '여봉'의 결핍증상,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 원예과학기술지 41(4): 350-355
  32. 허권, 이채곤, 장민영, 조동하, 유창연. 2000. 금낭화의 생육특성 및 자생지 식생조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3(3): 188-194
  33. Marschner, H. 1995.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2nd ed.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pp. 436-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