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hibitory Effect of Melanogenesi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lsholtzia ciliata Extract and Its Application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향유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및 항염효과와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성

  • 이대우 ((주)참존 기술원 응용연구소) ;
  • 김영진 ((주)참존 기술원 응용연구소) ;
  • 김영실 ((주)참존 기술원 응용연구소) ;
  • 엄상용 ((주)참존 기술원 응용연구소) ;
  • 김종헌 ((주)참존 기술원 응용연구소)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ti-oxidation,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lsholtzia ciliata extract for use as the cosmeceuticals. Elsholtzia ciliata extracts (30, 70 and 100% methanol extract) exhibited a significant t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up to 80% over 0.025% concentration of 30 and 70% methanol extract, over 0.01% concentration of 100% methanol extract) against DPPH radical generation and showe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up to 80% over 0.1% concentration) on melanin synthesis in B-16 Melanoma cells. We separated 4 fractions from Elsholtzia ciliata extract (70% methanol extract) by MPLC. The 1st, 2nd, and 3rd fractions showed anti-oxida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pressive effect on Mn-SOD), whitening(inhibitory effect on melanin synthesis) and anti-inflammatory (suppressive effects on $IL-1{\alpha}$, IL-6, COX-2, and total NO synthesis) effects.

본 연구는 항유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미백 및 항염 효과와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30%, 70% 그리고 100% 메탄올로 추출한 각각의 향유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효과는 30%와 70% 추출물들은 0.025% 이상의 농도에서, 100% 추출물은 0.1% 이상의 농도에서 8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포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는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 모두 0.1% 이상의 농도에서 8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후 70% 메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MPLC를 사용하여 성분 분리 실험을 실시한 결과 4개의 분획들을 얻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1번, 2번 그리고 3번 분획들에서 항산화(DPPH 라니칼 소거, Mn-SOD 생성 억제), 미백(멜라닌 생성 억제) 그리고 항염($IL-1{\alpha}$, IL-6, COX-2, Total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배기환,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 서울 (2000)
  2. 김태정, 한국의 자원식물,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1996)
  3. C. B. Lee, Korean dictionary of plant, Hyangmunsa, Seoul, Korea, 660 (1999)
  4. H. J. Chi, S. H. Shin, and J. I. Chang, Analysis of essential oils from Elsholtzia ciliata and the production of essestial oils by tissue cluture, Korean J. Pharmacogn, 23, 77 (1992)
  5. B. K. Lee, J. K. Bang, J. K. Kim, C. B. Park, and B. H. Lee, Chemotaxonomy of essential oils in Elsholtzia ciliata and Agastache rugosa, Kor. J. Intl, Agri., 13, 71 (2000)
  6. D. W. Kim, K. H. Son, H. W. Chang, K. H. Bae, S. S. Kang, and H. P. Kim,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lsholtzia splendens, Arch. Pharm. Res., 26(3), 232 (2003) https://doi.org/10.1007/BF02976835
  7. J. H. Jeong and H. B. Lim,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lsholtzia ciliata (Thunb.) Hyland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6), 463 (2004)
  8. S. Y. Lee, M. S. Chung, M. K. Kim, H. H. Baek, and M. S. Lee, Volatile compounds of Elsholtzia splend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3), 339 (2005)
  9. 정재훈, 임홍빈, 꽃향유 전초의 향기성분 분석과 생리 활성 평가, 분석과학, 18(6), 500 (2005)
  10. 정재훈, 향유와 꽃향유 향기 성분의 생리활성 검정, 한국연초학회지, 27(1), 19 (2005)
  11. 정재훈, 향유와 꽃향유의 향기 성분 조성 비교, 한국연초학회지, 26(2), 109 (2004)
  12. 송송이, 국내 수 십종 꽃향유와 향유의 정유성분분석 및 형태적 특성, 서울대 대학원 (2004)
  13. 송지숙, 국내 자생 향유의 정유성분에 의한 화학형 분류 및 특성 연구, 서울대 대학원 (2000)
  14. 정재훈, 향유와 꽃향유의 향기성분 조성 및 생리활성 검정, 충북대 대학원 (2005)
  15. 강정란, 향유의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4)
  16. T. Mosmann,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 J. Immunol. Methods, 65, 55 (1983) https://doi.org/10.1016/0022-1759(83)90303-4
  17.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 (1958) https://doi.org/10.1038/1811199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