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formation of the Jindo (Canis familiaris), Korean Native Dog - the Head

진도개의 체형 - 머리

  • 김상기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
  • 이정치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
  • 오석일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
  • 김병수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특수동물학과) ;
  • 이재일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
  • 이채용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
  • 이정길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
  • 박영석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특수동물학과)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The head of the Jindo, Korean native dog was measured in the present study. One hundred and ninety five Jindoe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1,985 dogs in the Jindo County in August 1998, which were screened by the judging committee of the County and registered by inserting electronic chips in the withers. They were about one and a half-year-old, and were white and fawn dogs. The head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skull, ear and nose. Each part was divided again, and a total of 14 parts of the head were measured using calipers. Measurements of the skull part and skull index were bigger in dogs than in bitches,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exes.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easurements of the ear part between sexes or coat colors, except the distance between two ears in which the distance was longer in dogs than in bitches. In the measurements of the nose, the width of rostral part was larger in fawns than in whites and in dogs than in bitches. The rest were larger in dogs than in bitches.

1998년 8월 현재 진도군관내에서 사육중인 진도개로 군에서 실시하는 심사를 거친 후 전자칩이 삽입된 1,985마리중에서 약 10%에 해당하는 195마리를 무작위로 선정한 다음 머리부위를 측정하였다. 그 개들은 생후 18개월 이상의 임상적으로 건강한 것들로, 백구와 황구의 암ㆍ수가 포함되었다. 두부를 두개, 귀, 코로 크게 나누고 각 부위를 다시 세분하여 모두 14개 부위를 측정했다. 두개부위의 측정치와 두개지수는 모두 암캐보다 수캐에서 컸으나 모색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귀부위의 측정치 중에 이간만 암캐보다 수캐에서 컸으나 다른 측정치는 성이나 모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코부위의 측정치 중에 전비폭만 황구가 백구보다 그리고 수캐가 암캐보다 컸다. 나머지 측정치는 수캐가 암캐보다 컸다.

Keywords

References

  1. Dog Breeds. 2002. The Anatomical Chart Company. Lippine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22-33
  2. Lee, C. G., Lee. J. I., Lee, C. Y. and Sun. S. S. 2000. A review of the Jindo, Korean native dog. Asian-Aust. J. Anim. Sci. 13:381-389
  3. Migliorini, M. 1985. The Doberman book. Areo Publishing, Inc., New York. pp. 91-97
  4. 森篤三, 1940. 珍島犬(朝鮮固有犬), 日本犬. 9:38-44
  5. 김윤규, 김재홍, 이정길, 이채용, 박거수. 1986. 진도견의 보호육성에 관한 연구 - 기초조사 진도개보호육성위원회 보고서, 전라남도 진도군. pp. 13-30
  6. 김정호. 1979. 진도견. 전남일보사, 광주. pp. 43-79
  7. 문재창, 김상일. 1978. 진도개의 순수혈통 보존 및 육성에 관한 연구 제 24회 전국 과학 전람회 문교부장관상 수상작
  8. 박영석, 김상기, 이정치, 오석일, 이성호, 박병권, 이재일,이채용, 이정길. 2005. 진도개의 체형-몸 통과 다리.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7(5):891-989 https://doi.org/10.5187/JAST.2005.47.5.891
  9. 박종만. 1971. 한국 진도견에 관한 연구(제I보) 한축지. 13:92-106
  10. 이정길, 이채용, 이재일, 박영석, 김상기. 이정치, 곽형수, 봉영훈, 안소영, 김민지, 김연희, 황인영. 1999. 진도개의 순수혈통 고정을 위한 유전적 특성 조사. 전라남도 진도군 제3차년도 연구보고서 :3-47
  11. 진도개 표준체형. 1998. 진도군 고시 제 98-3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