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온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된 고등어의 투여가 마우스 혈청과 조직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Temperature Vacuum Dried Mackerel Intake on Lipid Profile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Serum, Heart, Kidney and Adipose Tissue in Mice

  • 최형주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 김창복 (한국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 김경근 (한국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Choi, Hyung-Ju (Division of Marine Environment & Bioscien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Chang-Bok (Division of Marine System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Kyung-Kun (Division of Marine System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im, Sun-Young (Division of Marine Environment & Bioscien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발행 : 2006.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열풍건조기계의 단점을 보완하고 높은 온도에 의한 영양소 손실을 막기 위하여 저온 진공 건조기를 도입하여 고등어를 건조 시킨 후 마우스에 섭취시켜 고등어에 의한 혈청, 심장, 신장 및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산 조성 변화와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등어군의 혈청, 심장 및 신장 균질물에서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대조군(control)보다 낮은 경향이었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의 경우 고등어군의 혈청과 심장 균질물에서 대조군(control)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등어군의 총 n-6 지방산 함량은 대조군(control)보다 감소한 반면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control)보다 증가하였다. N-3 계열 지방산 중에서 특히 22:6n-3의 함량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 185% 증가하였다(p<0.05). 심장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고등어군의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의 함량에서는 대조군(control)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총 n-6 지방산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총 n-3 지방산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22:5n-3와 22:6n-3의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control)보다 증가하였다(p<0.05). 신장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총 지방산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control)보다 감소하였고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 고등어군에서 증가하였으며 그 중에서 22:6n-3의 함량은 105%로 증가하였다(p<0.05). 지방조직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의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대조군(control)보다 증가하였고 고등어군의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군(control)보다 감소하였으나(p<0.05), 총 n-3 지방산들 중 DHA 함량은 고등어군에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n-3 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건조 고등어 식이는 혈청, 심장 및 신장의 n-3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이렇게 증가된 n-3 지방산은 각 조직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와 HDL-콜레스테롤 농도의 증가 경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향후 n-3 지방산의 급원으로 건조 고등어의 활용도가 기대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dried mackerel, which is enriched with docosahexaenoic (22:6n-3, DHA) and eicosapentaenoic (20:5n-3, EPA) acids, as a means of increasing the intake of these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sumption of mackerel on tissue triglyceride, cholestero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Twenty male mice were fed on 5% palm oil (control group) and 5% dried mackerel (mackerel group) diets for four weeks. Total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tended to decrease in serum, heart and kidney of the mackere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HDL-cholesterol levels were increased with the intake of mackerel. I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and heart, the mackerel group showed increased percentages of n-3 fatty acids, especially DHA and EPA, and decreased percentages of arachidonic (20:4n-6, AA) and docosapentaenoic (22:5n-6, DPAn-6) acid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There was a similar tendency in kidney and adipose tissue but AA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mackerel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take of dried mackerel as the n-3 vehicle for increasing tissue n-3 fatty acids may be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lipid metabolis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