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항암약침의 최신연구경향

  • Yoo, Hwa-Seung (East-West Cancer Center, Daejeon University Dunsan Oriental Hospital) ;
  • Bang, Sun-Hwi (East-West Cancer Center, Daejeon University Dunsan Oriental Hospital) ;
  • Cho, Chong-Kwan (East-West Cancer Center, Daejeon University Dunsan Oriental Hospital)
  • 유화승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 방선휘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 조종관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Objectives : This systematic review summarizes the existing evidence on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in South Korea. Methods : Literature searches were conducted in four databases. All studies of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which has been published in South Korea until May, 2006 were included. Data were extracted according to pre-defined criteria by two independent reviewers. Results : We found 73 papers related to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in South Korea. Seventy of seventy-three papers are trial research and only three papers are clinical research. Herb materials which were used in those papers are Bee-venom, Wild-ginseng, Ginseng, Houttuynia cordata Thunb, Lonicerae Flos, Carthami Tinctorii Juglans sinensis, Euphorbiae Radix, Ecliptae Herba, Crotonis Semen, Juglans sinensis, Armeniaceae Amarum, so on. From those papers, Anti-tumor herbal acupunctures are effective to tumor cell line and tumor in vivo. Clinical research papers reported that Anti-tumor herbal acupunctures are useful to improve cancer related symptoms and quality of life(QOL) of cancer patients.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ke sure of that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is useful therapeutics for cancer patients. If we conceive complex-herb materials and carry out more advanced research, Anti-tumor Herbal Acupuncture is one of those major therapeutics to improve clinic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QOL) of cancer patients.

Keywords

References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public of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4.
  2. American Cancer Society. Cancer facts & figures-1996. 1996. 96-300
  3. 유화승, 조정효, 이연월, 손창규, 조종관. 서구대체의학의 암 치료에 관한 연구. 한방종양학회지. 2000; 6(1) : 125-48
  4. Bernstein B. J., Grasso T. Prevalenc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cancer patients. Oncology. 2001 ; 15(10): 1267-72
  5. Harris P., Finlay I. G., Cook A., Thomas K. J., Hook K..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by patients with cancer in Wales: a cross sectional survey.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003 ; 11(4) : 249-53
  6. 박신화, 조경희, 손윤희, 임종국, 남경수. 발암과정 생화학적 표식자를 이용한 하고초 약침액의 암예방 활성 측정. 생약학회지. 2001;32(2): 163-7
  7. 조종관. 현대 중국의 암 치료현황에 관한 연구. 혜화의학. 1995 ; 4(1) : 8-18.
  8. 김소형, 김갑성. 전갈약침액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0; 17(3): 151-67
  9. Kim SD. Study on the anti-metastasis and immune activity of HangAmDan. Graduate school of Daejeon university. 1999.
  10. Cho JH. Clinical study in 320 cases for cancer patients on the effect of Hangamdan. Graduate school of Daejeon university. 1999.
  11. 지상은. 80년대 이후 중국의 약침연구 동향. 대한약침학회지. 1998;1(1): 138-51 https://doi.org/10.3831/KPI.1997.1.1.138
  12. 夏煥德, 張礫君 主編. 腫瘤病證治精要. 北京. 科學技術文獻出版社. 1999:24,91-3, 167-8, 181,263
  13. 蔣玉潔, 李一明 主編. 中國腫瘤秘方全書. 北京. 科學技術文獻出版社. 2001. 2001: 14-5,28-9,55-5,74-5,85-6,107-9,117-8,131-4,140,217,237-8,268,277-8,313,329-30,359-60,405-6,453-4,465,477,488-9,496
  14. 김태윤. 인삼수침 전처치가 발암예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15. 권기록 외. 봉독약침자극이 3-MCA 유발 상피종에 대한 항암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7; 14(2): 157-72
  16. 박찬렬. 약침용 봉독이 흑색종 세포에 미치는 항암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 17(2) : 169-85
  17. 박찬렬. 봉독약침의 항암효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0;3(1): 1-19 https://doi.org/10.3831/KPI.2000.3.1.001
  18. 권도희, 이재동, 최도영. 약침용 봉독성분 중 Apamin, Melittin의 항암작용.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1) : 129-45
  19. 김윤미, 이재동, 박동석. 약침용 봉독성분 중 Apamin의 항암효과와 MAP-Kinase 신호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1; 18(4): 101-15
  20. 오기남, 이재동, 박동석. 봉독약침이 C57BL mouse의 흑색종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2;19(2) : 78-91
  21. 방재선. Crude bee venom 및 Apamin 약침액이 신경아세포종의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 경산대학교. 2002
  22. 강동철, 정태영, 서정철, 임성철, 한상원. Bee Venom 및 Melittin 약침액이 신경아세포종의 세포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3;20(2):98-111
  23. 여성원, 서정철, 최영현, 장경전. 봉독약침액에 의한 인체유방암세포의 성장억제 및 세포사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3;20(3):45-62
  24. 안창범, 임춘우, 윤현민, 박수진, 최영현. 약침용 봉독성분 melittin의 영향에 의한 인체 폐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5) : 93-106
  25. 안창범, 임춘우, 김철홍, 윤현민, 장경전, 송춘호, 최영현. Bax의 발현증가 및 Caspase의 활성을 통한 봉독약침액 Melittin의 인체폐암세포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4; 21(2) : 41-55
  26. 김경태, 송호섭.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봉약침액 및 Melittin 약침액의 항암 기전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6):37-50
  27. 권기록, 조아라, 이선구. 정맥주입용 산양산삼 증류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3; 6(2): 7-27 https://doi.org/10.3831/KPI.2003.6.2.007
  28. 조희철, 이선구, 권기록. 농도별 산양산삼 증류약침의 apoptosis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4;7(2): 1-15 https://doi.org/10.3831/KPI.2004.7.2.005
  29. 곡경승, 이선구, 권기록. pH 및 전해질 조절 산양산삼 증류약침의 apoptosis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4;21(6): 1-17
  30. 권기록, 박치완, 나민수, 조종관. 산양산삼약침으로 치료한 다발성 전이를 동반한간세포암 환자에 대한 임상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5; 22(2): 211-217
  31. 권기록, 윤휘철, 김호현. B16F10세포를 이식한 C57BL/6 생쥐에서 산삼약침의 항암효과 및 Doxorubicin에 의한 생식독성 완화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6;23(1): 105-120
  32. 임세영, 이수진, 권기록. 산삼약침이 Colon26-L5 암세포주를 이용한 간전이 모델의 항암 및 면역증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 ; 23(1) :121-134
  33. 한상원, 임사비나, 변부형. 인삼약침과 Lidocaine을 첨가한 인삼약침이 종양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서의학. 1995;20(3): 21-39
  34. 장 해영. A-549 폐암세포와 Sarcoma-180 복강암에 대한 수삼 증류약침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5. 위종성. A549 폐암세포와 Sarcoma-180 복강암에 대한 인삼 증류약침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6. 원승환. A549 폐암세포와 Sarcoma-180 복강암에 대한 홍삼 증류약침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7. 김창환, 배원영, 고형균. 어성초 약침이 B16 흑색종 암모델에 대한 항종양효과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 18(1): 186-201
  38. 이혜정. 어성초수침의 항종양효과에 관한 연구. 경희한의대논문집. 1989;12: 467-83
  39. 김중완. 금은화약침의 항종양 작용 및 생체장기에 대한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9; 16(1):255-67
  40. 김중완, 최혜경, 손윤희, 임종국, 남경수. 금은화약침액의 암예방효과. 생약학회지. 1999; 30(3) : 261-8
  41. 박희수. 금은화 약침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5; 22(5): 91-7
  42. 이준무, 하지용. 제조약침의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 대한동의병리학회지. 2000; 14(2): 132-43
  43. 이준무, 하지용. 다양한 발암병태모형에 따른 제조 약침의 항암 및 면역증강에 관한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1 ; 4(1): 5-29
  44. 안창석, 권기록, 이선구. 홍화자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2;5(1):7-26 https://doi.org/10.3831/KPI.2002.5.1.007
  45. 이경민, 임성철, 정태영, 서정철, 한상원. Oligonucleotide chip을 이용한 홍화자약침액이 간암세포주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3) : 215-25
  46. 허부. 대극 분획 약침이 S-180에 대한 항종양효과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47. 홍영식. 대극약침이 항암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48. 박정현. 백서의 B16-F10 Melanoma에 대한 한련초약침의 항암 및 면역증강효과.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9. 정영돈, 이현, 이병렬, 임윤경. 족삼리에 시술한 한련초 약침의 면역증진과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3; 20(3): 141-53
  50. 유창길, 권기록, 유병길. 파두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2; 5(1): 27-42 https://doi.org/10.3831/KPI.2002.5.1.027
  51. 이선구, 강계성, 권기록, 최성모. 호도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2; 5(1): 43-52 https://doi.org/10.3831/KPI.2002.5.1.043
  52. 김옥, 권기록. 행인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2; 5(1): 61-79 https://doi.org/10.3831/KPI.2002.5.1.061
  53. 김태희, 권기록, 이선구. H-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2 ; 5(2) : 120-37
  54. 이동희, 김광호, 권기록. K-약침의 급성.아급성 독성실험 및 Sarcoma-180 항암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3 ; 6(1) : 76-95
  55. 유화승, 조정효, 손창규, 조종관. 소염약침의 통증을 동반한 암환자에 대한 효과. 대한약침학회지. 2003; 6(1) : 20-7
  56. 유화승, 조정효, 이연월, 손창규, 조종관. 약침치료를 이용한 각종 암환자의 임상사례. 대한약침학회지. 2004; 7(1) : 27-36
  57. 김소연. 포공영약침액의 암예방 효과. 동국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8. 한상훈, 조경희, 손윤희, 최혜경, 김소연, 임종국, 남경수. 당귀약침액의 암예방효과. 약학회지. 2000 ;44(3) : 283-92
  59. 윤성묵. 애엽약침액의 암예방 효과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60. 이기택. 창이자약침액의 암예방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1. 한상훈, 조경희, 최혜경, 임종국, 손윤희, 이임태, 남경수. 감두약침액의 암예방효과. 생명과학회지. 1999;9(6) : 684-91
  62. 최원확. 고삼약침이 항종양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63. 박상용. 의이인수침이 종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64. 서 범석. 저령약침이 S-180에 대한 항종양 효과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65. 서주원. 구기엽약침이 S-180에 대한 항종양 효과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66. 이 계복. 3-methycholanthrene 피부암에 미치는 자초약침의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 대전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67. 최 종호. 구기자 및 지골피약침이 종양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68. 이정화. 와송약침의 항암작용 및 면역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전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69. 이재복, 이병렬. 토사자약침의 항암작용 및 면역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1;18(3):94–104.
  70. 박상용, 이병렬. 익지인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1; 18(3):79-93
  71. 박경미, 조경희, 손윤희, 임종국, 남경수. 감초약침액의 항암 및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2000;31(1): 7-15
  72. 이선희. 항암 및 면역효과에 복분자약침이 미치는 영향. 대전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73. 이은용. 육종용약침의 항암작용 및 면역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전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74. 류준선. 황기약침액이 발암과정의 개시와 진행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75. 박성호. 백화사설초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76. 장석근, 강재희, 임윤경, 이현, 이병렬. 중완 및 관원에 시술한 천문동약침이 항암 및 면역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5) : 159-71
  77. 이현. 백서의 중완에 시술한 청풍등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21(6): 85-102
  78. 오치석, 이현, 임윤경, 성락기. 중완에 시술한 홍화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21(5): 205-18
  79. 서영석, 서정철, 임성철, 정태영, 한상원. 황백약침액의 인간경부암세포 SNU-17의 세포자살 유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2) : 103-10
  80. 송영호. 백굴채분획약침이 항암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81. 이성노. 족삼리 및 중완에 시술한 석창포약침이 항암 및 면역효과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82. 류은상. 관원 및 중완에 시술한 보골지약침이 항암 및 면역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83. 김남각. 족삼리 및 중완에 시술한 자하거약침이 항암 및 면역효과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84. 신동수. 홍화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85. 박기홍. 오수유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86. 안병수. 족삼리 목향약침이 항암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3
  87. 황영진. 백서의 중완에 시술한 백화사설초약침이 항암 및 면역증강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88. 김태한. 백서의 족삼리에 시술한 청풍등약침이 항암 및 면역증강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89. 김재영. 백서의 B16-F10 melanoma에 대한 황련약침의 항암 및 면역증강효과.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90. 김은미. 중완 목향약침이 항암 및 면역증강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