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tatistical Indicators on the Infrastruc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in Korea

과학기술문화 하부구조에 관한 통계지표 분석

  • 송성수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statistical indicators on the infrastructure of S&T culture in Korea. In the case of visible infrastructure, science museums, S&T programs in TV, and S&T books are not sufficiently secured except for internet. The utilization of visible infrastructure tends to be increased but in rudimentary stage. In relation to invisible infrastructure, public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 is underdeveloped, social status of S&T personnel is low compared to social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in S&T policy of S&T personnel and citizens organization is limited. For the development of statistical indicators in S&T culture, personal, institutional, and social contexts should be much considered, surveys on the particular social groups are systematically pursued, and a white paper on the S&T culture in Korea needs to be published.

이 글에서는 과학기술국민이해도조사를 비롯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문화 하부구조에 관한 통계지표를 분석하였다. 유형적 하부구조의 경우에는 인터넷을 제외하면 과학관, 과학기술 TV 프로그램, 과학기술도서 등 유형적 하부구조의 확보율은 매우 낮은 수준이며, 이에 대한 활용도는 전반적으로 저조하지만 약간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무형적 하부구조와 관련해서는 일반 국민의 과학 기술에 대한 관심 및 이해가 아직 저조하고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중요성에 비해 사회적 대우가 낮으며,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과학기술자와 시민단체의 참여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학기술문화 통계지표의 발전을 위해서는 개인적 제도적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조사, 특정한 집단에 대한 조사, 과학기술문화백서의 발간 등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