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GOI with Snowmelt Effect in Ssangchun Watershed

쌍천유역의 지하수위와 융설 효과를 고려한 GOI의 상괸관계

  • Published : 2006.02.01

Abstract

Snowmelt effect is identified fro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GWL) data and Severe drawdown of GWL is observed in drought. Groundwater dam Operation Index (GOI), which is developed for the optimal operation of groundwater dam, is calculated by taking common logarithm of the moving average(MA) of precipitation data for a certain period. The period can vary from watershed to watershed because the period is decided by picking th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GWL and GOI of several MAs of precipitation. For Ssangchun watershed, the correlation was the strongest when we apply 70 day MA for GOI calculation. Snowmelt effect is considered by applying the temperature change by elevation($0.5^{\circ}C$ decrease per 100m) and examining the areal distribution of the watershed by elevation. Snow event is assumed when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 is below $0^{\circ}C$ and snowmelt is assumed when the temperature is above zero degree Celsius. Total snowmelt is assumed for the day. When the snow event is occurred the precipitation data is separated into two components, snow and rainfall. The areal distribution by elevation is used for the calculation in the separ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GWL and GOI is higher when we consider snowmelt effect than we neglected it.

쌍천 유역의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융설 효과를 확인하였고 갈수기에 지하수위가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지하댐 운영을 위해 개발된 Groundwater dam Operation Index(GOI)는 이동평균값을 사용하여 상용 로그값을 취한 것으로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을 시 지하댐 운영지표로 사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개발되었다. 그러나 유역별, 자료별로 이동평균기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이동평균 기간을 정하여 각각 상관계수를 구한 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이동평균기간을 선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70일 이동평균값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융설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 먼저 유역의 DEM 자료를 이용하여 100m간격으로 고도별 면적분포를 구하고 기온이 100m당 $0.5^{\circ}C$씩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강수사상이 발생하면 0도 이하가 되는 고도에서는 강설사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때 고도별 면적분포에서 구해지는 면적비를 고려하여 강수사상을 강우와 강설로 나누었다. 이후에 고도를 고려한 기온이 $0^{\circ}C$ 이상인 날에 그 고도의 설적이 모두 녹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강우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하였다. 이렇게 수정된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이동평균을 구하여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구해본 결과 쌍천 유역의 2003년부터 2005년까지 2개년 자료에 대해서는 대체로 70일 이동평균을 이용한 GOI가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가 높으며 융설을 고려했을 때 상관관계가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재현,최용선,김대근,박창근,양정석 (2005).'일 강우자료를 이용한 지하댐 운영지표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발표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60
  2. 속초시 (2003). 쌍천수계 수자원 이용방안 및 가용수량 조사용역, 제4장
  3. 이상일, 김병찬, 김수민 (2004). '지표수-지하수를 연계한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 (I)방법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 10호, pp. 789-798 https://doi.org/10.3741/JKWRA.2004.37.10.799
  4. McKee, T. B., Doesken, N. 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Preprint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5-20 January, Dallas, TX, pp. 233-236
  5. Wilhite, D. A, and Glantz, M H.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 The Role of Definition.', Water international, 10, pp. 111-120 https://doi.org/10.1080/02508068508686328
  6. Guttman, Nathaniel B. (1999). 'Accept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 A Calculation Algorithm',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2, pp. 311-322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9.tb0359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