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Middle-Aged Salaried Workers' Retirement Plans: Economic Preparation and Health Care Plans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 경제적 준비와 건강준비를 중심으로

  • Hong Sung-Hee (Dept. of Consumer Information Science, Keimyung University) ;
  • Kwak In-Sook (Dep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Woosuk University)
  •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
  • 곽인숙 (우석대학교 주거인테리어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6.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iddle-aged salaried workers' retirement plan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lans.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ale workers with female workers on their economic preparation and health care plan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salaried workers perceived their level of economic retirement plan to be relatively low. Second, the factors the affected the level of economic preparation for post-retirement were their current subjective economic level, age, household assets and debts, economic and health problems expected in their future elderly life, and savings and assets reserved for their elderly life. Third, the factors that affected whether to put aside savings for elderly life or not were age, current subjective economic level, capital assets, and savings and assets reserved for their elderly life. Fourth,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post-retirement health care depended on health problems expected in their elderly life, current subjective economic level, locus of control, job, and expected retirement age. Overall, the factors that affect male salaried workers' economic and health care plan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female salaried workers. From th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iddle-aged salaried workers' level of economic retirement plans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ir health care plans. Also, male salaried workers' level of retirement plan were different from that of female workers.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진(2000). 노인들의 건강행위 설천 정도와 관련요인 분석. 한국노년학회지, 20(2), 169-182
  2. 김명자(1989). 중년기연구. 서울: 교문사
  3. 김미경(1992). 중년층의 노년 생활준비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4. 김순미.홍성희.김혜연.김성희(2004). 봉급생활자의 은퇴설계: 노인 부양으로서 유료노인시설 선호 및 요구도. 대한가정학회지, 42(5), 175-192
  5. 김승희(1997). 노부모 부양의식과 노후생활전망 -중년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6. 김연옥(1992). 퇴직예정자의 퇴직태도 및 퇴직 후의 계획에 대한 연구. 한국 사회복지학, 4, 1-26
  7. 김애순.윤진(1995). 은퇴 이후의 심리.사회적 영향 -은퇴는 위기인가?-. 한국노년학, 15(1), 141-158
  8. 김인숙(1993). 농가의 노후의 경제적 요구와 대비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9. 김정순.권자연(1996). 요양원 노인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기능상태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7(2), 216-228
  10. 김지경(2004). 은퇴자의 은퇴사유 및 은퇴 후 소득원천.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11. 문숙재.여윤경(2001). 예비노인의 은퇴와 경제적 복지의 예측. 소비자학연구, 12(1), 115-131
  12. 박미석(1996). 중년기 남녀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I.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9-33
  13. 박선옥(1997). 중장년 사무직을 위한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태도와 프로그램욕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 연구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청구 논문
  14. 배문조.전귀연(2004)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7), 89-102
  15. 삼성경제연구소(2002). 고령화시대 도래의 경제적 의미와 대책. 삼성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
  16. 서병숙(1992). 노인연구. 서울: 교문사
  17. 서인선(2000). 노인들의 지식과 건강행위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0(2), 1-28
  18. 성미애(1999). 남성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 후 적응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19. 손상희(2000). 은퇴 후 경제준비를 위한 재무교육에 관한 고찰. 대전대학교 생활과학연구, 6, 35-48
  20. 신하연(1997). 중년기 소비자들의 경제적 노후대비수준과 실버타운에 대한 요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1. 신화용.조병은(1999).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상호작용특성과 결혼만족도. 한국노년학, 19(1), 31-44
  22. 이성희(1997). 도시지역 노인의 건강요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3. 이승아(1998). 중년기 직장남성의 퇴직에 대한 태도와 퇴직 후 생활계획.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4. 이은경(2002). 중년기 부부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동부산대학 논문집, 21, 715-744
  25. 이정숙.이인수(2005). 노년기 건강관리행동과 사회경제요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7, 231-253
  26. 이주일(2003). 기업구성원의 퇴직에 대한 태도 및 퇴직준비교육 요구. 한국심리학회지, 16(1), 57-79
  27. 이지은(2000). 중년기 직장남성의 노후생활계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희자.김영미(1996). 청소년의 부모부양의식과 중년기 부모의 노후준비도. 대한가정학회지, 34(2), 117-128
  29. 이혜자.김윤정(2004). 부부관계가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4), 197-214
  30. 임장순(1990). 한국인의 노후생활대책에 관한 의식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1. 장삼수(1998). 조기퇴직 불안이 중년기 위기에 미치는 영향 -금융기관에 종사하는 40-50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2. 전길양.송현애.고선주.김일명(2000).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 -풍요로운 노후 가꾸기-. 한국노년학, 20(1), 69-91
  33. 정경희.오영희.석재은.도세록.김찬우.이윤경.김희경(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34. 정진희(1997). 노인의 건강행위와 영향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5. 지연경.조병은(1991). 내외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29(2), 217-240
  36. 최가영.조임현.이의훈(2001). 노년기근로자의 퇴직현상에 관한 심층적 연구. 한국노년학, 21(1), 73-92
  37. 최보아.지영숙(2004). 은퇴자의 생활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47-61
  38. 통계청(2004). 고령자 통계를 조선일보(2005). 한국, 노인증가율 최고. 2005. 8. 12일자에서 재인용
  39. 한경혜.이정화.옥선화.Ryff, C., Marks, N.(2002).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22(2), 209-225
  40. 한국경제신문(2005). 인간수명 100세 현실로. 2005.10.30
  41. 허정무(1998).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을 통한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한국노년학회지, 18(3), 1-18
  42. 홍성희.이경희.곽인숙.김순미.김혜연.김성희(1998) 노년기 생활설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중노년층의 노후생활계획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43. Atchley, R. C.(1991).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Belmont, CA. Wadsworth
  44. Barfield, R. & Morgan, J.(1978). Trends in planned early retirement. Gerontology, 11, Spring, 29-32
  45. Boaz, R. F. & Muller, C. F.(1989). Does having more time after retirement change the demand for physician services? Medical Care, 27, 1-15 https://doi.org/10.1097/00005650-198901000-00001
  46. Boss, R., Aldwin, C. M., Levenson, M. R. & Ekerdt, D. J.(1987). Mental health differences among retirees and workers :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Psychology and Aging, 2, 383-398 https://doi.org/10.1037/0882-7974.2.4.383
  47. Evans, L. Ekerdt, D. J. & Bosse, R.(1985). Proximity to Retirement and Anticipatory Involvement: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40(3), 368-374 https://doi.org/10.1093/geronj/40.3.368
  48. Maddos, G. L.(1970). Adaptation to retirement. The Gerontologist, 10, Spring, 14-18 https://doi.org/10.1093/geront/10.1_Part_2.14
  49. McPherson, B. & Guppuy, N.(1979). Preretirement lifestyle and the degree of planning for retirement. Journal of Gerontology, 34, 254-263 https://doi.org/10.1093/geronj/34.2.254
  50. Parens, H. S. J. & Gilbert, N.(1981). The Retirement Experience. Cambridge. MA: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