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남진(2000). 노인들의 건강행위 설천 정도와 관련요인 분석. 한국노년학회지, 20(2), 169-182
- 김명자(1989). 중년기연구. 서울: 교문사
- 김미경(1992). 중년층의 노년 생활준비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김순미.홍성희.김혜연.김성희(2004). 봉급생활자의 은퇴설계: 노인 부양으로서 유료노인시설 선호 및 요구도. 대한가정학회지, 42(5), 175-192
- 김승희(1997). 노부모 부양의식과 노후생활전망 -중년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김연옥(1992). 퇴직예정자의 퇴직태도 및 퇴직 후의 계획에 대한 연구. 한국 사회복지학, 4, 1-26
- 김애순.윤진(1995). 은퇴 이후의 심리.사회적 영향 -은퇴는 위기인가?-. 한국노년학, 15(1), 141-158
- 김인숙(1993). 농가의 노후의 경제적 요구와 대비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김정순.권자연(1996). 요양원 노인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기능상태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7(2), 216-228
- 김지경(2004). 은퇴자의 은퇴사유 및 은퇴 후 소득원천.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 문숙재.여윤경(2001). 예비노인의 은퇴와 경제적 복지의 예측. 소비자학연구, 12(1), 115-131
- 박미석(1996). 중년기 남녀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I.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9-33
- 박선옥(1997). 중장년 사무직을 위한 퇴직준비교육에 대한 태도와 프로그램욕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 연구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청구 논문
- 배문조.전귀연(2004)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7), 89-102
- 삼성경제연구소(2002). 고령화시대 도래의 경제적 의미와 대책. 삼성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
- 서병숙(1992). 노인연구. 서울: 교문사
- 서인선(2000). 노인들의 지식과 건강행위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0(2), 1-28
- 성미애(1999). 남성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 후 적응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 손상희(2000). 은퇴 후 경제준비를 위한 재무교육에 관한 고찰. 대전대학교 생활과학연구, 6, 35-48
- 신하연(1997). 중년기 소비자들의 경제적 노후대비수준과 실버타운에 대한 요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신화용.조병은(1999).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상호작용특성과 결혼만족도. 한국노년학, 19(1), 31-44
- 이성희(1997). 도시지역 노인의 건강요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이승아(1998). 중년기 직장남성의 퇴직에 대한 태도와 퇴직 후 생활계획.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이은경(2002). 중년기 부부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동부산대학 논문집, 21, 715-744
- 이정숙.이인수(2005). 노년기 건강관리행동과 사회경제요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7, 231-253
- 이주일(2003). 기업구성원의 퇴직에 대한 태도 및 퇴직준비교육 요구. 한국심리학회지, 16(1), 57-79
- 이지은(2000). 중년기 직장남성의 노후생활계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희자.김영미(1996). 청소년의 부모부양의식과 중년기 부모의 노후준비도. 대한가정학회지, 34(2), 117-128
- 이혜자.김윤정(2004). 부부관계가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4), 197-214
- 임장순(1990). 한국인의 노후생활대책에 관한 의식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장삼수(1998). 조기퇴직 불안이 중년기 위기에 미치는 영향 -금융기관에 종사하는 40-50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전길양.송현애.고선주.김일명(2000).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 -풍요로운 노후 가꾸기-. 한국노년학, 20(1), 69-91
- 정경희.오영희.석재은.도세록.김찬우.이윤경.김희경(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 정진희(1997). 노인의 건강행위와 영향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지연경.조병은(1991). 내외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29(2), 217-240
- 최가영.조임현.이의훈(2001). 노년기근로자의 퇴직현상에 관한 심층적 연구. 한국노년학, 21(1), 73-92
- 최보아.지영숙(2004). 은퇴자의 생활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47-61
- 통계청(2004). 고령자 통계를 조선일보(2005). 한국, 노인증가율 최고. 2005. 8. 12일자에서 재인용
- 한경혜.이정화.옥선화.Ryff, C., Marks, N.(2002).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22(2), 209-225
- 한국경제신문(2005). 인간수명 100세 현실로. 2005.10.30
- 허정무(1998).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을 통한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한국노년학회지, 18(3), 1-18
- 홍성희.이경희.곽인숙.김순미.김혜연.김성희(1998) 노년기 생활설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중노년층의 노후생활계획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 Atchley, R. C.(1991).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Belmont, CA. Wadsworth
- Barfield, R. & Morgan, J.(1978). Trends in planned early retirement. Gerontology, 11, Spring, 29-32
- Boaz, R. F. & Muller, C. F.(1989). Does having more time after retirement change the demand for physician services? Medical Care, 27, 1-15 https://doi.org/10.1097/00005650-198901000-00001
- Boss, R., Aldwin, C. M., Levenson, M. R. & Ekerdt, D. J.(1987). Mental health differences among retirees and workers :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Psychology and Aging, 2, 383-398 https://doi.org/10.1037/0882-7974.2.4.383
- Evans, L. Ekerdt, D. J. & Bosse, R.(1985). Proximity to Retirement and Anticipatory Involvement: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40(3), 368-374 https://doi.org/10.1093/geronj/40.3.368
- Maddos, G. L.(1970). Adaptation to retirement. The Gerontologist, 10, Spring, 14-18 https://doi.org/10.1093/geront/10.1_Part_2.14
- McPherson, B. & Guppuy, N.(1979). Preretirement lifestyle and the degree of planning for retirement. Journal of Gerontology, 34, 254-263 https://doi.org/10.1093/geronj/34.2.254
- Parens, H. S. J. & Gilbert, N.(1981). The Retirement Experience. Cambridge. MA: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