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Heel Rest on Braking Reaction Time while Driving Vehicle with Automatic Transmission

오토 차량 운전시 보조 발판이 제동 시간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safety of the heel rest which was made for reducing the automobile driver's muscle fatigue with automatic transmission. Six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test, including ten males and ten females in 30s, 40s, 50s, respectively. Simulator consisted of automobile cockpit, accelerator and brake pedal sensor, heel rest. and driving displays. 30 seconds were given to subjects to be accustomed to the simulator environment. They also had one pre-trial to use the brake pedal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scenario. They were told to step on the brake pedal immediately as soon as the red light was on the display The reaction time representing the foot travel time between accelerator and brake pedal was measured with/without the heel rest. In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ction time between conditions with/without heel rest.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heel rest used in this study would be a safe accessory for drivers who need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muscle or joint during driving.

본 연구에서는 오토차량 운전자의 피로를 덜어주기 위해 개발된 보조 발판(heel rest)에 대한 안전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자동차 모의 운전장치를 이용하여 30대, 40대, 50대 운전자 남녀 각 10명씩 60명의 실험참가자를 대상으로 보조 발판을 장착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주행 상황 하에서의 주행 중 급제동 능력(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30초간의 자율적인 초기 적응 과정과 실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훈련을 진행하고, 반응 시간 측정을 실시하였다. 반응 시간 측정 실험에서는 실험참가자로 하여금 가상 주행 운전 상황에서 임의의 시간에 주어진 갑작스런 신호(붉은색 신호등 표시)에 대하여 반응을 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보조발판은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급제동시 반응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운전자의 하지 관절과 근육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 발판이 급제동과 같은 위급한 상항에도 일반 페달과 유사한 반응시간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사이버 경찰청(2004), 남녀별 운전면허 소지자 현황, http://www.police.go.kr/
  2. 통계청(2003), 운수업 통계조사, http://www.nso.go.kr/
  3. 김정룡, 서경배, 박형진 (2002). '인체공학적 자 동차 페달의 평가를 위한 근육 피로도 및 족압 측 정', 대한인간공학회 추계학술대회, pp.173-177
  4. 김정룡, 서경배 (2005). '자동차 페달 반복 사용 시 보조 발판이 하지근육 활동과 피로에 미치는 영 향', 대한인간공학회지, 24(4), pp.55-62 https://doi.org/10.5143/JESK.2005.24.4.055
  5. William C., Peter D., Matthew W., and William P. B. (2003), 'Effect of cellular telephone conversations and other potential interference on reaction time in a braking respons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5, pp.495-500 https://doi.org/10.1016/S0001-4575(02)000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