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ation of Han-bok on Modern Korean Oil-Paintings

한국 근대 서양화에 표현된 한복의 배색에 관한 연구

  • Kim Mi-Jin (Dept. of Clothing & Textiles, In-ha University) ;
  • Cho Woo-Hyu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Published : 2006.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olor and the coloration of Han-bok on the oil-painting of modern Korea. Generally, the modern Korean art is from late 19th to early 1980s' for the lowest year. Through the introduction of oil painting and the painter's work which had been reflected painter's realism at these times, we might know that the phases of the times and we could see a Korean costume and color combination. In this study, Han-bok is divided to upper clothes, lower clothes and the other parts which was distinguished by the color. The color of Han-bok which is watched on the modern art oil-painting is mainly white. The primary color including red, yellow, blue and middle tone colors is in harmony. It means that the five colors of Yin-Yang Wu-hsing were preferred until the modern times. The coloration of Han-bok is classified to a one-colored arrangement, two-colored arrangement and three-colored arrangement. The one-colored arrangement by white and black is a peculiar coloration to the modern times. The two-colored arrangement is a traditional coloration of Han-bok. The color which is high value and chroma is arranged on jacket, Jeogori. A dimension rate that is related with the difference of value and chroma made a visual harmony. In many cases of the two-colored arrangement of neutral colors is not much different in Jeogori and Chima. So Han-bok which is two-colored arrangement of neutral colors is colored in a breast- tie, pigtail ribbon, cuff and waist band for getting visual focus. The represented three-colored arrangement is white Jeogori and navy blue Chima with red breast-tie. It is a perfect visual color combination. The color of Han-bok was inherited a traditional color and the combination of neutral color was balanced. It was a refinable coloration system according to a difference of value and chroma. It means that a color sensation and arrangement of Korean have been developed by our unique climate, nations and the culture which has been formed for a long times.

Keywords

References

  1. 유수경 (1988). 韓國女性洋裝의 變邊에 관한 硏究.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5-16
  2. 이주현, 유혜경, 김찬주, 홍나영 (2001). 현대 한국인의 한복착용 한국의류학회지. 25(1) p. 39
  3. 오광수 (1995), 한국현대미술사, 열화당, pp. 16-17
  4. 윤범모 (2000), 한국근대미술 한길아트.pp. 104-105
  5. 오광수 (1995), 한국현대미술사, 열화당, p. 17
  6. 윤범모 (1994). 조선시대말기의 시대상황과 미술활동. 한국근대 미술사학. 1, p. 57
  7. 윤범모 (2000), 한국근대미술 한길아트.p. 106
  8. 야마나시 에미코 (1995). 구로다세이키와 동경미술학교 의 양화교육. 미술사학, 9. pp. 106-107
  9. 김홍희 (2000). 나혜석 미술작품에 나타난 양식의 연화. 현대미술사연구. 11 pp. 127-128
  10. 윤범모 (2000), 한국근대미술 한길아트. p. 114
  11. 김진송 (1995). 이쾌대. 열화당, pp. 64-66
  12. 윤범모 (2000), 한국근대미술 한길아트.p. 115
  13. 윤범모 (2000), 한국근대미술 한길아트.pp. 27-132
  14. 한국미술사 99프로젝트 엮음 (2000) 한국미술과 사실 성 눈빛, pp. 125-126
  15. 김공주 (1994),色彩科學.대광서림, pp. 128-130
  16. 김문영 (2005). 해외시장진출을 위한 한국전통색 활 용,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3
  17. 강윤숙, 이순홍 (1996), 服色의 象徵的意味에 관한 硏究. 복식, 30, pp. 90-91
  18.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열화당, pp. 57-73
  19. 김양희, 소황옥 (1995). 조선시대 여자복식에 나타난 배색 연구. 복식, 25
  20.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열화당, PP. 69-70
  21. 정현숙, 김진구 (1993). 혜원 신윤복의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상징성. 복식문화연구회지, 1(2)
  22. 김문영 (2005). 해외시장진출을 위한 한국전통색 활 용,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4-78
  23. 유수경 (1988). 韓國女性洋裝의 變邊에 관한 硏究.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0
  24.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 145
  25. 유수경 (1988). 韓國女性洋裝의 變邊에 관한 硏究.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5
  26. 유수경 (1988). 韓國女性洋裝의 變邊에 관한 硏究.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6
  27.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 143
  28.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p. 203-204
  29.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 81
  30.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 105
  31.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p. 111-112
  32. 남윤숙 (1990). 한국현대여성복식제도의 변천 과정연 구. 복식, 14(0), pp. 103-105
  33.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 140
  34.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현암사, pp. 103- 105
  35. 유수경 (1988). 韓國女性洋裝의 變邊에 관한 硏究.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4
  36. 박찬부 (1992) 韓國現代服節文化特性의 變選에 관 한 硏究. 동국대 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37. 한국표준협회 (2002), KS 물체색의 이름. 한국표준협회
  38. Juliian Bell 원형준 역 (2002). 회화란 무엇인가? 한길 아트
  39. 현대패션 100년 편찬위원회 (2002), 현대패션 1900-2000. 교문사
  40. 박길순 (1991) 韓國 現代 女性服節의 發達에 미친 要因 分析.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이안지 (2000) 조선후기 초상화에 미친 서양화법의 연구. 실학사상연구 17, 18(0). pp. 629-662
  42. 손경자, 임영자 (1985) 樓園 金弘道의 平生圖 展風에 나타난 人物들의 服食에 관한 考察. 복식, 9(0) , pp 5-22
  43. 이세리, 이경자 (2001)한.국복식에 나타난 고유배색 연구. 한국색채학회 ;2001년 춘계학술대회 및 제 2차 색채표준세미나, pp. 127-132
  44. 이정우 (2001). 개항기의 사진과 회화 속에 나타난 전 통적 여성이미지와 여성주체. 한국근대미술사학, 9, pp. 69-103
  45. 홍나영 (1990), 한복개량 운동에 관한 고찰. 복식, 15, pp. 141-148
  46. 김진구, 김애련 (1999) 매일신보광고를 통해 본 일제 시대 한국복식의 변천. 복식문화연구, 7(2). pp. 230-241
  47. 임상임 (1990). 일제하의 민중의 의생활. 국제문화학회; 역사, 사회, 철학, 3, pp. 93-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