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Research on Color Preference of Fashion Specialists between Korea and Italy

한국과 이태리 패션전문가의 색채기호 비교연구

  • 김문영 (계명대학교 패션대학 패션마케팅전공) ;
  • 조우현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부 의상학전공)
  • Published : 2006.02.01

Abstract

Globally, several ethnic groups have expressed their spirit cultures based on their ethnic identity in diverse ways. Clothing has been one of the convenient objects to express ethnic identities. Therefore, patterns and colors used in traditional costumes have worked as a means to help understanding spirit cultures of ethnic groups. Since colors help strengthening solidarity of social members based on ethnic preference and community consensus, colors have performed a crucial role as a strategic tool in the fashion business closely related to consum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survey results, color preferences of Korean and Italian speciali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gnboard colors and disliked colors. Many Korean fashion specialists selected pink as a preferred color, black as a clothing color, red and white as a color with high visibility, and orange as a disliked color. In case of Italy, many specialists selected red and black as highly visible colors for a signboard, and green as a disliked color. In results comparing color preference for colors between Korean and Italian fashion design specialists, there were differences in color sensibility. Since this research used data from survey conducted using a very limited and much manipulated stimuli among a wide range of color schema and patterns, the study result may not be fully generalized. In future studies, more research using diversely segmented stimuli would be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인, 김창순 (1998) 한. 일 색채경향의 비교를 통한 색채감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색채학. pp. 11-22
  2. 小川安郞(1979). 민족복식의 체계 의생활 연구회, p. 13
  3. Birren. F. 김화중 역 (1985), 색채심리. 동국출판사, pp. 67-82
  4. 장지명 (1999). 감성시대의 칼라마케팅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5. 김관웅 (1997). 중국의 조선족과 한족의 색채심리 비교연구. 비교민속학, 15, p. 581
  6. 오은경 (1989). 한국인의 색채의미와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7. 김미경 (2002). 현대패션에 나타난 五色의 동. 서양 색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1-58
  8. 사이토 미호(齊矇美穗) (1997). 아시아에 있어서의 색채기호의 국제비교 연구. 한국색채교육학회지, 6, p. 84
  9. 김경영 (1982). 보색대비를 통해 본 한국인의 색채인식에 관한 소고. 한국조경학회지, 10(2). pp. 47-52
  10. 이명회, 김미영 (2001), 기존의 색채연구유형과 선호 색채연구의 분석. 복식, 51 (3). 한국 복식학회, p. 34
  11. 박화순 (1995). 의류학 영역에서의 색채동향연구.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5, pp. 100-101
  12. 김훈철, 장열렬 (1991), 감성시대의 컬러마케팅 사면서각. p. 285
  13. 장지명 (1999). 감성시대의 칼라마케팅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20
  14. IRI색채연구소 (2004). 컬러마케팅. 영진닷컴, pp. 66-87
  15. 정흥숙 (2001). 서앙복식사. 교학사, p. 89
  16. Leslie Cabarga (2001), The designer's guide to global color combinations, How design Books, pp. 78-81
  17. www.Fashionwide.com. 2004.9.10.발췌
  18. www.modaonline.com. 2004.9.10 발췌
  19. 허영화 (1985). 색채 이미지 분석에 관한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
  20. 정연수 (1999). 칼라마케팅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및 색상선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계명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7
  21. Laura Bonin, Professor, College of Sociology, Trento University, Italy, 01.01.2004